교육부 폐과 결정에 뜨거운 감자 부상…유치 경쟁 재점화 예고
교육부가 서남의대 폐과를 결정하자 과연 의대 정원을 어느 대학에 배분될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추후 논의할 내용이라며 말을 아끼고 있어 일말의 가능성을 노리는 대학들의 물밑 경쟁이 재점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부는 지난해 실시한 서남대 감사 결과를 바탕으로 의대 폐과를 결정하고 서울행정법원의 1심 판결 후 이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교육부는 "서남의대는 임상실습 교육과정 관리와 운영이 심각한 수준에 있어 폐과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다소 불투명했던 서남의대 폐과가 공식화되면서 의료계의 관심은 정원 배분 문제로 모아지고 있다.
서남의대가 폐과되면 결국 이 정원을 다른 대학에 배분하지 않겠냐는 판단에서다.
현재 서남의대는 매해 49명의 신입생을 받고 있다. 의대 중 정원이 많은 편은 아니지만 신설 대학은 의대 유치의 기회가 될 수 있으며 기존 의대는 세를 확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모두가 이 정원에 군침을 흘릴 수 밖에 없는 이유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추후 논의 내용이라며 선을 긋고 있지만 만약 서남의대가 폐과 될 경우 정원 문제는 크게 3가지 방법으로 정리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이 정원을 활용해 의대를 신설하는 방안이다. 십년이 넘게 의대 신설에 목을 매왔던 목포대와 순천대 등이 주장하는 방법.
이로 인해 서남의대 감사결과가 나오자마자 목포대와 순천대는 의대설립 추진본부를 열고 수만명의 지역시민들에게 서명을 받으며 유치전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교육기반이 약한 대학에 의대신설을 허가해 서남의대 사태가 벌어졌다는 비난 여론이 강하다는 점에서 현실성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는 전남의대, 전북의대 등 지역 국립대학에 정원을 배분하는 안이다.
이 방안은 교육부가 감사처분 이후 직접 언급했던 방안인 만큼 가장 확률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지역 의료의 기반을 조성한다는 대의가 있는 만큼 타 대학의 반발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지막은 교육환경이 우수하지만 정원이 적은 의대에 이를 배분하는 방법이다. 우수한 학생을 길러낼 수 있는 곳에 정원을 주는 것이 타당하다는 명분이다.
이에 대해 후보로는 성균관의대, 울산의대 등이 꼽힌다.
이들 의대는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등을 기반으로 국내 최고 수준의 교육환경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지만 정원은 40명에 불과하다.
이들 대학에 20여명씩 정원을 배분하면 우수한 의학자를 길러내는 의대 본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신중한 입장이다. 의대 정원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해 많은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폐교 이후 학생들의 교육권 문제가 가장 시급한 현안"이라며 "정원 문제도 여러가지 가능성을 살피고 있지만 우선순위는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히 의대 입학정원은 의사 배출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 만큼 복지부는 물론, 유관기관과 상당한 논의가 필요한 사안"이라며 "우선 순위에 맞춰 차근차근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추후 논의할 내용이라며 말을 아끼고 있어 일말의 가능성을 노리는 대학들의 물밑 경쟁이 재점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부는 지난해 실시한 서남대 감사 결과를 바탕으로 의대 폐과를 결정하고 서울행정법원의 1심 판결 후 이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교육부는 "서남의대는 임상실습 교육과정 관리와 운영이 심각한 수준에 있어 폐과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다소 불투명했던 서남의대 폐과가 공식화되면서 의료계의 관심은 정원 배분 문제로 모아지고 있다.
서남의대가 폐과되면 결국 이 정원을 다른 대학에 배분하지 않겠냐는 판단에서다.
현재 서남의대는 매해 49명의 신입생을 받고 있다. 의대 중 정원이 많은 편은 아니지만 신설 대학은 의대 유치의 기회가 될 수 있으며 기존 의대는 세를 확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모두가 이 정원에 군침을 흘릴 수 밖에 없는 이유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추후 논의 내용이라며 선을 긋고 있지만 만약 서남의대가 폐과 될 경우 정원 문제는 크게 3가지 방법으로 정리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이 정원을 활용해 의대를 신설하는 방안이다. 십년이 넘게 의대 신설에 목을 매왔던 목포대와 순천대 등이 주장하는 방법.
이로 인해 서남의대 감사결과가 나오자마자 목포대와 순천대는 의대설립 추진본부를 열고 수만명의 지역시민들에게 서명을 받으며 유치전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교육기반이 약한 대학에 의대신설을 허가해 서남의대 사태가 벌어졌다는 비난 여론이 강하다는 점에서 현실성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는 전남의대, 전북의대 등 지역 국립대학에 정원을 배분하는 안이다.
이 방안은 교육부가 감사처분 이후 직접 언급했던 방안인 만큼 가장 확률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지역 의료의 기반을 조성한다는 대의가 있는 만큼 타 대학의 반발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지막은 교육환경이 우수하지만 정원이 적은 의대에 이를 배분하는 방법이다. 우수한 학생을 길러낼 수 있는 곳에 정원을 주는 것이 타당하다는 명분이다.
이에 대해 후보로는 성균관의대, 울산의대 등이 꼽힌다.
이들 의대는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등을 기반으로 국내 최고 수준의 교육환경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지만 정원은 40명에 불과하다.
이들 대학에 20여명씩 정원을 배분하면 우수한 의학자를 길러내는 의대 본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신중한 입장이다. 의대 정원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해 많은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폐교 이후 학생들의 교육권 문제가 가장 시급한 현안"이라며 "정원 문제도 여러가지 가능성을 살피고 있지만 우선순위는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히 의대 입학정원은 의사 배출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 만큼 복지부는 물론, 유관기관과 상당한 논의가 필요한 사안"이라며 "우선 순위에 맞춰 차근차근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