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제도와 규제로 불편 관계 유지…함께 크게 도와달라"
"어느 제약사 분이 나를 보더니 잘 좀 봐달라고 하더라."
23일 '2013 제3회 글로벌 헬스케어 포럼'에 참석한 노환규 대한의사협회장의 인사말 중 일부다.
제약산업과 의료산업은 분명 공동 운명체인데 정부의 잘못된 규제와 제도로 틈새가 벌어지고 있다는 아쉬움을 에둘러 표현한 발언이다.
노 회장은 포럼 전 인사말에서 "일찍 도착해서 제약사 인사와 얘기를 나눴다. 그런데 잘 좀 봐달라는 얘기가 나왔다"며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제약산업 경쟁력은 실험실 안에서만 일어날 수 없다. 의료산업과 서로 발전해야하는 공동 운명체다. 그럼에도 최근 여러 잘못된 제도로 여전히 불편한 관계가 유지되고 있다"고 아쉬워했다.
노 회장은 이어 한국 미래 산업의 먹거리는 단연 제약산업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삼성 점유율이 30%를 넘었다. 올 1분기는 60%를 넘었다고 한다. 한국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영원한 것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너도나도 바이오헬스케어를 미래 먹거리로 꼽고 있다. 하지만 꼭 필요한 지원은 없고 대책도 없다. 정부의 절실한 도움이 필요한 때다. 잘못된 규제와 제도는 풀어져야한다"고 강조했다.

제약산업과 의료산업은 분명 공동 운명체인데 정부의 잘못된 규제와 제도로 틈새가 벌어지고 있다는 아쉬움을 에둘러 표현한 발언이다.
노 회장은 포럼 전 인사말에서 "일찍 도착해서 제약사 인사와 얘기를 나눴다. 그런데 잘 좀 봐달라는 얘기가 나왔다"며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제약산업 경쟁력은 실험실 안에서만 일어날 수 없다. 의료산업과 서로 발전해야하는 공동 운명체다. 그럼에도 최근 여러 잘못된 제도로 여전히 불편한 관계가 유지되고 있다"고 아쉬워했다.
노 회장은 이어 한국 미래 산업의 먹거리는 단연 제약산업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삼성 점유율이 30%를 넘었다. 올 1분기는 60%를 넘었다고 한다. 한국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영원한 것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너도나도 바이오헬스케어를 미래 먹거리로 꼽고 있다. 하지만 꼭 필요한 지원은 없고 대책도 없다. 정부의 절실한 도움이 필요한 때다. 잘못된 규제와 제도는 풀어져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