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네릭 처방 위해 약사 임의 대체조제 허용"

발행날짜: 2013-06-20 06:44:29
  • 심평포럼, 외국 약가결정과정 소개…유럽도 약제비 억제 총력

약품비 절감을 위해 다른 나라들도 의사들의 제네릭 처방을 적극 권장하고 있었다.

일본은 우리나라처럼 제네릭을 처방하는 의사에게 인센티브를 주기 시작했다. 오리지널 제약사가 제네릭에 대해 평가절하를 하지 못하도록 정부 차원에서 감시를 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19일 '의료기술 급여결정에 대한 외국의 경험과 교훈'을 주제로 심평포럼을 개최했다. 심평포럼에는 특별히 해외연자가 참석해 자국의 약가결정 과정 등에 대해 발표했다.

후쿠다 다카시 박사
일본 국립보건의료과학원(NIPH) 후쿠다 다카시 박사는 일본에서 약가가 결정되는 과정, 약제비 절감 정책 등에 대해 발표했다.

일본은 2년마다 약가 전면 개정을 통해 약값을 깎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약제비 지출이 조금씩 증가하고 있었다.

약제비를 절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본은 2006년부터 대체조제를 허용했다. 이 때는 처방전에 제네릭약 대체조제를 허락하는 의사의 서명란이 있었다.

일본은 2008년 이마저도 없앴다. 의사 서명이 없어도 약사가 임의로 대체조제를 할 수 있다.

지난해부터 일본은 제네릭을 처방한 의사에게도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의도적으로 잘못된 정보 흘리는 제약사 감시해야"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브라이언 고드만 박사도 제네릭약 처방을 권장했다.

고드만 박사는 유럽에서 제네릭 처방을 권장하기 위해 실시한 '4E' 정책에 대해 소개했다.

그리고 2001년과 2007년 고지혈증 치료에 쓰이는 대표적 성분인 스타틴의 사용량과 약제비를 비교한 통계를 제시했다.

4E는 학술적인 부분 등에 대한 교육(Education) 의사, 환자, 약사에게 재정적 인센티브를 안겨주는 경제성(Economics), 제도 활성화를 위한 조직(Engineering), 강제성(Enforcement) 등을 말한다.

통계자료를 보면 스웨덴의 경우 사용량은 42%나 늘었지만 약제비 지출은 48% 줄었다.

브라이언 고드만 박사
고드만 박사는 "약의 활용도는 높아졌지만 비용은 줄었다. 제네릭 사용률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제약사들이 의도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흘리는 경우가 많다. 특정 오리지널약에 대한 제네릭약이 나왔을 때 오리지널 제약사가 제네릭 품질이 좋지 않다고 소문을 내는 경우도 있었다"고 환기시켰다.

이어 "한국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있을 수 있다. 보건당국이 제네릭 약품이 나왔을 때 이에 대해 험담하려고 하는 제약사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그래야 제네릭 활용도는 높이고 약제비 지출은 낮출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신약 시장 진입 후에도 잘 지켜봐야"

고드만 박사는 이와 함께 신약에 대해서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감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항응고제 프라닥사(다비가트란)를 예로 들었다.

프라닥사는 와파린을 대체할 신약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처방이 급증해 최근 심평원도 집중심사를 하고 있다.

고드만 박사에 따르면 다비가트란은 잘못 사용하면 출혈이 심하고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감시가 필요하다.

제조회사 쪽에서 환자들이 약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제대로 모니터링 하고 있지 않아 스웨덴 정부가 직접 나섰다. 약을 사용하기 전 환자의 심장상태가 어떤지 미리 살펴보도록 권장한 것.

고드만 박사는 "정부 개입 후 프라닥사 사용이 줄었다. 현재는 출혈위험에 대한 우려가 커 필요 이하로 처방하고 있다. 보건당국이 적절히 잘 개입한 사례다"고 말했다.

이어 "신약이 시장에 진입한 이후에는 가이드라인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유효성과 안전성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감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책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