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기능 장애 개선 호르몬 보충요법 남성 불임 초래"

발행날짜: 2013-08-02 08:50:20
  • 강남차병원,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이 무정자증 원인

강남차병원 비뇨기과팀이 최근 성기능 장애 개선 위한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이 일시적인 무정자증을 초래하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

송승훈 교수
남성 호르몬 보충요법은 흔히 남성 갱년기 치료요법으로 많이 쓰이며 최근에는 성기능 장애와 같은 환자들에게도 시행되고 있는 것.

하지만 이 요법이 무정자증을 초래하며 남성 불임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기도 하다.

강남차병원 비뇨기과는 2008년 1월부터 2012년 8월까지 남성 불임으로 본원 불임센터에 내원하여 무정자증으로 진단받은 남성환자 중 외부병원에서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을 받은 11명을 대상으로 검사 및 추적 관찰했다.

이들 모두는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와 성기능저하에 대해 개인 의원에서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을 시행 받았던 병력을 가지고 있었다

대상환자의 평균 나이는 38.5 (34 – 43)였으며 평균 불임기간은 18±7.1개월이었다.

본원에서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의 부작용으로 인한 무정자증 진단 후 환자들은 추가 치료 없이 정액검사, 호르몬 검사를 주기적으로 재검 하면서 경과를 관찰하였고,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을 중단한 후 정액검사와 혈중 FSH 수치는 평균 8.4±1.4월 후 정상범위로 회복됐다.

강남차병원 비뇨기과 송승훈 교수는 "일시적인 성기능 저하와 낮은 혈중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보이는 젊은 남성이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을 시행하는 경우 무정자증과 같은 가임력의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남성호르몬 요법을 꼭 시행하여야 하는 경우는 비뇨기과 전문의와 상의 하여 주기적인 검사 및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미 자녀를 모두 출산한 경우에는 별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자녀를 가지려고 하는 가임기에 있는 젊은 남성의 경우에는 무정자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SCIE) Yeonsei Medical Journal(연세메디컬저널) 5월호에 게재됐다.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