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봉사하는 척하고 진찰료 부당청구한 한의사들

박양명
발행날짜: 2013-09-06 06:35:22
  • 심평원, 한방 불법사례 공개…전화 상담하고 약은 택배로 배달

[메디칼타임즈=] 산후조리원, 교회, 마을회관, 노인정…

지난해 #일부 한의사들이 한의원이 아닌 곳에서 불법으로 진료한 장소들이다.

한의사들이 진료실을 떠나서 진료한 후 요양급여비를 거짓청구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5일 부당청구 예방을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지난해 많이 적발된 유형을 바탕으로 '한방 산정기준 위반 청구사례'를 공개했다.

다양한 부당청구 유형 중 특이한 점은 진료실 이외의 장소에서 진찰, 치료하거나 전화 상담을 한 후 급여를 부당청구한 한의사들이 다수 적발된 것이다.

의료법에 따르면 의료인은 의료기관을 개설하지 않고 의료업을 할 수 없으며, 그 의료기관 안에서 의료업을 해야 한다.

구체적인 부당청구 유형을 살펴보면 A한의사는 산후조리원 산모들을 방문해 진찰 및 침술 등을 시행하고 급여비를 부당청구했다.

B한의사는 노인정 등에서 무료진료 봉사로 진찰 및 침술을 시행했고, C한의사는 환자와 전화로 상담을 한 후 약을 조제해 택배로 보내고 급여를 청구했다.

교회에서 교인을 대상으로 진찰 및 침술을 하거나 마을회관을 주기적으로 방문해서 의료행위를 하는 한의사도 있었다.

물론 왕진료를 받을 수 있는 보건복지부 고시가 있지만 적발된 한의사들은 해당되지 않았다.

고시에 따르면 질병, 부상 및 출산 등으로 진료를 받아야 하지만 걷기가 곤란하거나 불가능해서 환자나 보호자의 요청에 따라 왕진을 할 수 있으며 진찰료, 진료비 등을 받을 수 있다.

이 밖에도 의과와 마찬가지로 입원, 내원일수를 거짓 청구하거나 실제 진료, 투약하지 않은 행위 등을 한 것처럼 하고 거짓청구 한 경우도 대표적인 사례다.

관련기사

정책 기사

댓글 5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11 2013.09.06 16:08:17

    법을 더 강화시켜야 합니다!!!
    직업을 막론하고 처벌받을 일을 한 의료인들에게는
    강한 법을 적용해야 이런 일들이 더이상 발생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 법은 너무 약하니 이런 일들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고 생각합니다..복지부도 수가를 올려줘야 하고요..

  • 따라쟁이들 2013.09.06 12:29:03

    의사들 따라 하는구나
    의사들 따라하다 좃된다

  • 하하하 2013.09.06 09:49:07

    밑에 \"환자들\" 이라는 쓰뤠기세끼
    그래, 바보같은 니애미는 몇백씩 갖다바치는 모양이더구나 ㅎㅎㅎ

  • 코메디 2013.09.06 09:05:40

    의료봉사는 사라져야 한다
    주변에 병의원이 잔뜩 있는 곳에 의료봉사랍시고 떼거지로 몰려간다.
    아얘 그 시간에 노가다해서 돈벌어서 어려운 사람 도와줘라...

  • 환자들 2013.09.06 08:16:33

    한의원에서 한약조제금지 시켜야한다
    우선 약값이 엄청비싸다는거다/
    디스크약이라고 하면서 몇십,몇백만원씩 받는경우가 허다한 모양이다/
    그래도 나으면 괜찬을 텐데/이게 나을 수 있갯어요.
    아무런 통재가 없는 한의워느ㅡㅡ과연 진료기록부에는 뭐라고 기록돼있을까?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