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팀, 1만여명 대상으로 재수술 현황 분석 결과 발표
허리 척추 협착증으로 수술 받은 환자가 5년 내 재수술 받을 가능성이 14%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정천기, 김치헌 교수 연구팀(신경외과)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03년 허리 척추 협착증으로 수술 받은 환자 1만1027명을 5년간 추적 분석한 결과를 국제 학회지인 'Spine Journal'지 최신호에 게재했다.
논문에 따르면 환자 중 7.2%는 첫 수술 후 1년 내에, 9.4%는 2년 내에, 11.1%는 3년 내에, 12.5%는 4년 내에, 14.2%는 5년 내에 재수술 받았다.
재수술은 과거 수술을 받았던 부위뿐 아니라 수술을 받지 않았던 부위의 허리에 추가 수술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재발뿐 아니라, 원인 불구하고 다시 수술이 필요로 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척추 협착증은 척추 내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신경이 눌리면서 발생하는 질환.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이 눌리기 때문에 다리가 아프고 마비증세가 발생하고 허리 통증의 원인 중 디스크 다음으로 많은 실정이다.
특히 재수술은 수술 후 결과가 불완전한 경우 외에도 퇴행성 변화의 진행으로 인한 인접 부위 변화 등 다양한 경우에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재수술률에 대한 국내 자료는 없어, 환자들에게 막연한 불안감을 주고 있었다.
1990년대 미국 연구에 의하면 17%가 10년 내에 재수술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당시의 수술 경향과 최근 수술 경향이 달라 직접 참고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척추 협착증 수술은 크게 감압술과 유합술로 나뉘는데 당시에는 유합술이 10% 였으나 최근에는 20~30%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의 수술 경향을 반영한 모든 연령의 환자에 대한 연구는 이번 연구가 유일하다.
이에 대해 정천기 교수는 "이번 연구는 10년 전 수술을 받은 환자들을 5년간 추적 관찰을 한 것으로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면서 "최근의 경향을 알기 위해 최근 수술을 한 환자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주기적인 국가 자료 분석은 현재 국내의 정확한 성적을 알고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면서 향후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서울대병원 정천기, 김치헌 교수 연구팀(신경외과)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03년 허리 척추 협착증으로 수술 받은 환자 1만1027명을 5년간 추적 분석한 결과를 국제 학회지인 'Spine Journal'지 최신호에 게재했다.
논문에 따르면 환자 중 7.2%는 첫 수술 후 1년 내에, 9.4%는 2년 내에, 11.1%는 3년 내에, 12.5%는 4년 내에, 14.2%는 5년 내에 재수술 받았다.
재수술은 과거 수술을 받았던 부위뿐 아니라 수술을 받지 않았던 부위의 허리에 추가 수술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재발뿐 아니라, 원인 불구하고 다시 수술이 필요로 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척추 협착증은 척추 내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신경이 눌리면서 발생하는 질환.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이 눌리기 때문에 다리가 아프고 마비증세가 발생하고 허리 통증의 원인 중 디스크 다음으로 많은 실정이다.
특히 재수술은 수술 후 결과가 불완전한 경우 외에도 퇴행성 변화의 진행으로 인한 인접 부위 변화 등 다양한 경우에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재수술률에 대한 국내 자료는 없어, 환자들에게 막연한 불안감을 주고 있었다.
1990년대 미국 연구에 의하면 17%가 10년 내에 재수술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당시의 수술 경향과 최근 수술 경향이 달라 직접 참고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척추 협착증 수술은 크게 감압술과 유합술로 나뉘는데 당시에는 유합술이 10% 였으나 최근에는 20~30%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의 수술 경향을 반영한 모든 연령의 환자에 대한 연구는 이번 연구가 유일하다.
이에 대해 정천기 교수는 "이번 연구는 10년 전 수술을 받은 환자들을 5년간 추적 관찰을 한 것으로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면서 "최근의 경향을 알기 위해 최근 수술을 한 환자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주기적인 국가 자료 분석은 현재 국내의 정확한 성적을 알고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면서 향후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