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협회의 행보를 놓고 말들이 많다.
보건복지부가 현 정부 출범 이후 4대 중증질환 급여화와 더불어 선택진료비, 상급병실료 등 비급여 보장성 강화방안 추진을 예고한 바 있다.
국정과제로 명명된 보장성 강화는 엄격히 말하면 병원급과 직결된 사항이다.
복지부는 국민행복기획단을 통해 지난달 10일과 31일 상급병실료와 선택진료비 토론회를 갖고 현행 제도 폐지 또는 대폭 축소 방안을 발표했다.
병원 입장에서는 직격탄인 셈이다.
병협의 그동안 행태를 보면 수수방관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보도자료와 성명서에 그쳤다는 의미이다.
병협은 복지부 토론회가 끝난 지 한 달 가까이 지나서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분노를 표출했다.
그것도 대학병원의 강경한 입장 요구에 따른 후속조치로 알려졌다.
사립대병원협회 김성덕 회장은 기자회견장에서 "이달초 협회 총회에서 상급병실료와 선택진료비 등 복지부의 비급여 제도개편에 대한 병원장들의 불만이 쏟아졌다"며 "더 이상 묵고할 수 없어 병협에 건의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병협은 손 놓고 있었나.
협회 관계자는 "그동안 복지부와 물밑협상을 지속했다. 하지만 장관 중도사퇴 등 정치적 변수가 작용해 이렇다 할 성과가 없다"고 토로했다.
병원들은 제도개선을 위한 협회의 노력은 인정하나, 현 집행부의 회무방향에 문제가 있다는 시각이다.
한 원장은 "경영손실이 예견된 제도가 밀려오는데, 병협이 너무 안일하게 생각한 것 같다"면서 "자동차보험 문제와 임원선출 제도개선도 중요하나, 큰 맥을 놓치고 있다"고 꼬집었다.
병협 김윤수 회장은 27일 긴급 기자회견에서 "병원계에 폭탄과 쓰나미가 몰려오고 있다. 이대로 가면 병원이 무너진다"며 최대 위기 상황임을 강조했다.
병원계 관계자는 "문제점을 잘 알고 있다면, 진작 했어야지..."라며 답답한 심정을 피력했다.
보건복지부가 현 정부 출범 이후 4대 중증질환 급여화와 더불어 선택진료비, 상급병실료 등 비급여 보장성 강화방안 추진을 예고한 바 있다.
국정과제로 명명된 보장성 강화는 엄격히 말하면 병원급과 직결된 사항이다.
복지부는 국민행복기획단을 통해 지난달 10일과 31일 상급병실료와 선택진료비 토론회를 갖고 현행 제도 폐지 또는 대폭 축소 방안을 발표했다.
병원 입장에서는 직격탄인 셈이다.
병협의 그동안 행태를 보면 수수방관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보도자료와 성명서에 그쳤다는 의미이다.
병협은 복지부 토론회가 끝난 지 한 달 가까이 지나서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분노를 표출했다.
그것도 대학병원의 강경한 입장 요구에 따른 후속조치로 알려졌다.
사립대병원협회 김성덕 회장은 기자회견장에서 "이달초 협회 총회에서 상급병실료와 선택진료비 등 복지부의 비급여 제도개편에 대한 병원장들의 불만이 쏟아졌다"며 "더 이상 묵고할 수 없어 병협에 건의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병협은 손 놓고 있었나.
협회 관계자는 "그동안 복지부와 물밑협상을 지속했다. 하지만 장관 중도사퇴 등 정치적 변수가 작용해 이렇다 할 성과가 없다"고 토로했다.
병원들은 제도개선을 위한 협회의 노력은 인정하나, 현 집행부의 회무방향에 문제가 있다는 시각이다.
한 원장은 "경영손실이 예견된 제도가 밀려오는데, 병협이 너무 안일하게 생각한 것 같다"면서 "자동차보험 문제와 임원선출 제도개선도 중요하나, 큰 맥을 놓치고 있다"고 꼬집었다.
병협 김윤수 회장은 27일 긴급 기자회견에서 "병원계에 폭탄과 쓰나미가 몰려오고 있다. 이대로 가면 병원이 무너진다"며 최대 위기 상황임을 강조했다.
병원계 관계자는 "문제점을 잘 알고 있다면, 진작 했어야지..."라며 답답한 심정을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