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메시지 통한 비만 치료 프로그램 효과 입증

발행날짜: 2015-09-08 09:38:51
  • 건국대병원, 2012년부터 1년간 비만환자 대상 조사

건국대병원이 문자메세지를 통해 만성질환의 치료 효과를 높이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주목된다.

이는 건강증진병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지난 2012년부터 1년간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시작해 현재 금연과 당뇨 등 만성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확대 실시할 계획이다.

건국대병원 가정의학과 최재경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12년 문자메세지를 활용해 비만 치료 효과를 높이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효과를 논문을 통해 입증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건국대병원 비만클리닉을 방문한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40명씩 두 그룹으로 나눠 12주간 비만 치료를 시행했다.

첫 번째 그룹에게는 치료와 함께 비만과 관련된 건강정보와 식이, 운동정보에 대한 문자메세지를 주 3회 주기적으로 발송했다. 두 번째 그룹은 대조군으로 문자메세지 없이 치료를 진행했다.

그 결과 문자메세지를 통한 비만관리를 받은 첫 번째 그룹이 두 번째 그룹에 비해 비만도를 나타내는 체질량지수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했다.

12주 후 치료프로그램을 완수한 인원은 첫 번째 그룹이 25명, 두 번째 그룹이 29명으로 나타났다.

체지방과 허리둘레를 측정한 결과, 문자메세지를 받은 첫 번째 그룹의 체지방(kg/m²)이 28.0±3.2에서 27.9±0.2로 감소한 반면 대조군은 27.9±2.3에서 28.3±0.2로 오히려 증가하며 뚜렷한 성과 차이를 보였다.

허리둘레(cm)도 첫 번째 그룹이 93.6±5.7에서 93.4±0.6로 줄어든 반면 대조군은 94.2±6.5에서 94.6±0.6로 미세한 증가를 나타냈다.

최재경 교수는 "이번 연구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문자메시지가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비만을 관리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건국대병원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12주의 비만 프로그램을 24주용으로 확대해 72개 문자메세지 컨텐츠를 개발했으며 금연 치료에도 적용, 12주 기준 32개 문자메세지를 새롭게 만들었다.

또한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다른 질환에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최재경 교수는 "비만에서도 효과를 보였듯 금연이나 당뇨 등 만성 관리 질환에서 문자메세지를 이용한 관리프로그램이 치료 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며 "연구에만 그치지 않고 실제 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적용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전했다.

건국대병원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인증하는 건강증진병원(HPH, Health Promoting Hospitals & Health Services) 의장병원으로서 이번 성과는 건강증진병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