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준 교수팀, 멜라닌 호르몬 면역조절 기전 입증

발행날짜: 2015-09-22 08:59:03
  • 염증반응 억제해 조절…염증성 피부질환치료제 개발 청신호

멜라닌세포에 영향을 미쳐 피부의 빛깔을 검게 하는 멜라닌을 증가시키는 '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α-MSH,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이 면역 조절 기전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앙대병원(원장 김성덕) 김범준 교수(피부과)팀은 미국 콜로라도대학(Colorado Denver Anschutz Medical Campus) 피부과 피터 송(Peter Song) 교수 및 류순효 박사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를 통해 사람의 각질세포에서 '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α-MSH)'이 '톨 유사 수용체2(TLR2, Toll-Like Receptor 2)'를 매개로 하는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기전을 밝혀낸 연구 논문을 최근 발표했다.

김범준 교수
'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α-MSH)'은 피부에서 강력한 항염증 작용 및 면역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지금까지 밝혀져 있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사람의 각질세포에 포도상구균으로 염증 반응을 유도하였을 때 '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α-MSH)'이 염증 시 세포에 생성되는 '톨 유사 수용체2(TLR2)' 및 'IL-8(Interleukin 8)'의 발현을 억제했다.

이어 염증 촉진 물질인 NF-κB가 세포 핵 내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면역 조절 기능이 가능한 것으로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톨 유사 수용체(TLR)'는 피부에서 포도상구균과 같은 그람 양성 세균(gram positive bacteria)에 대해 일차적으로 반응하는 세포막 수용체로서, 여드름, 건선, 나병 및 균상 식육종과 같은 피부질환에서 증가됐다.

이와 더불어 포도상구균은 농가진, 연조직염, 모낭염, 농양, 아토피 피부염, 건선을 포함한 다양한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주된 세균으로 알려져 있다.

김범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α-MSH)'이 사람의 각질세포에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기전을 밝힘으로써, 향후 포도상구균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질환 치료에 있어 새로운 치료 후보물질을 개발하는데 도움일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논문은 SCI급 저널인 미국 공공과학도서관(Public Library of Science)에서 발행하는 과학저널 2015년 8월호에 게재됐다.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