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농증 환자 콧솟 물혹 치료약물 개발 성공

발행날짜: 2015-09-23 11:48:01
  • 서울대 연구팀 코 상피세포 염증 억제 단백질 발견

국민 6명 중 1명이 고생한다는 축농증(만성 부비동염). 그중 콧속 물혹은 숨 쉬기 힘들 정도로 일상생활에 불편하고, 잘 낫지 않기로 알려졌다.

국내 연구팀이 이를 획기적으로 치료하는 치료약물을 개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김대우(좌), 신현우(우) 교수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서울의대 약리학교실 신현우 교수는 서울시보라매병원 이비인후과 김대우 교수와 함께 코 상피세포에서 발현되는 'SIRT1'의 소실이 콧속 물혹 발생의 핵심 원인임을 밝혔다. SIRT1은 축농증 발생시 코 상피세포의 염증을 억제하는 단백질.

또한 SIRT1 활성화 약물인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이 물혹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스베라트롤은 콧속에 뿌리기만 하면 되, 기존에 주사를 통해서만 약을 맞던 불편함이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정상인 8명(A그룹)과 콧속 물혹이 없는 부비동염 환자 12명(B그룹), 콧속 물혹이 있는 부비동염 환자 21명(C그룹)을 대상으로 콧속 상피세포에서 SIRT1 단백질이 얼마나 발현되는지 비교했다.

그 결과 콧속 상피세포 100개 중 SIRT1 발현 세포가 A그룹은 20개, B그룹은 45개, C그룹은 20개 미만으로 나타났다.

즉, 히스톤 탈아세틸 효소 중 하나인 SIRT1은 단순 축농증에서는 증가해 과도한 염증을 막아주지만, SIRT1이 없어지면 콧속 물혹이 생길 수 있다.

연구팀은 콧속 물혹 동물모델을 통해 SIRT1이 과발현된 유전자변형(Transgenic) 생쥐에서는 물혹이 거의 없음을 확인했다. 특히 물혹이 많은 생쥐에 SIRT1을 활성화 시켜주는 레스베라트롤을 콧속으로 투여했더니, 물혹이 80% 이상 감소했다.

심한 축농증 환자에서는 코 점막이 붓고 콧물이 많아지면서 코 상피세포가 외부 공기와 차단되어 저산소 상태가 되기 쉽다. 이 경우 상피세포는 'HIF-1'라는 단백질을 증가시켜 저산소 환경에 적응하게 된다.

신현우 교수는 'HIF-1'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코 상피세포의 변성을 일으켜 물혹이 유발될 수 있음을 선행연구에서 밝힌 바 있다.

이번 연구는 SIRT1이 HIF-1의 기능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SIRT1의 활성화를 통해 HIF-1의 기능을 억제하고 물혹을 치료할 수 있다는 가설에 출발했다.

신현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신 투여가 아닌 콧속을 통한 약물 투여만으로 물혹의 감소 효과를 봤다는 점에서 향후 전신 부작용이 적은 안전한 치료법의 개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는 알레르기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알레르기·임상면역학 저널'(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인용지수, IF=11.476)) 최신호에 게재됐다.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