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들더라도 공부하면 치매 막을 수 있다"

발행날짜: 2015-10-06 10:24:09
  • 삼성서울병원, 교육과 학습의 뇌 노화 예방효과 확인

나이가 들어서도 공부를 지속하면 뇌 노화는 물론 치매를 막는데도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서상원 교수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서상원·김준표 교수, 건강의학본부 신희영·강미라 교수, 미 존스홉킨스대병원 엘리세오 겔라 교수 연구팀은 최근 미국 신경과학회 'Neurology' 최근호에 이같은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 2008년 9월부터 2012년 12월 사이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본부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남녀 1959명을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MRI)을 이용해 뇌를 촬영했다.

연구에 참여한 이들의 평균나이는 63.8세로 정상적인 인지 기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팀은 학습기간 12년을 기준으로 이하인 그룹(977명)과 초과한 그룹(982명)으로 나누어 대뇌피질 두께변화를 비교했다.

그 결과 두 그룹 모두 나이를 비롯해 고혈압, 당뇨 등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상태에서 학습기간의 차이에 따라 대뇌피질의 두께가 달리 감소했다.

대뇌피질은 전체 뇌신경의 25%가 모여있으며 우리 몸의 감각이나 운동기능을 비롯해 인지, 기억, 의식 등을 관장한다.

나이가 들수록 대뇌피질의 두께가 감소하며, 이를 늦출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다.

게다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는 대뇌피질의 두께가 얇아져 있는 경우가 많아 대뇌피질 두께 감소는 치매 발생을 예측하는데도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연구팀에 따르면 12년 이하 그룹과 초과 그룹 피험자들의 대뇌피질 두께를 비교하였을 때, 12년 이하 그룹이 상대적으로 2마이크로미터(μm) 감소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이에 따른 대뇌피질 감소폭도 학습기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학습기간 12년 이하 그룹의 경우 나이가 1살씩 증가할 때 마다 대뇌피질 두께가 6μm 줄어든 것으로 나타난 반면, 12년 초과 그룹은 5μm 감소했다.

학습기간이 긴 그룹의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은 교육으로 뇌노화가 지연돼 치매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한 결과다.

치매예방을 위한 가장 손쉬우면서 효과적인 방법이 두뇌활동을 늘리는 것임을 알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서상원 교수팀은 "끊임없이 무언가를 배우고 익히는 것이 뇌노화 및 치매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수명 증가로 노년층 인구가 늘고 있는 현재 평생학습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겨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학술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