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장기기증원-인체조직기증원 업무협약 체결

이창진
발행날짜: 2015-10-13 09:01:58
  • 장기기증 활성화 협의체 구성 등 합의 "통합구득기관 설립 기반"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12일 (재)한국장기기증원(이사장 하종원) 및 (재)한국인체조직기증원(이사장 유명철) 등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우리나라는 장기와 조직의 이식수요에 비해 기증건수가 부족해 장기이식 대기 중 사망자가 매년 500여 명에 달하고 인체조직도 자급률이 26%로 낮아 기증활성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장기 이식대기자는 2만 7079명(2015년 7월말 기준)이며 인체조직 수요는 36만 5366개, 인체조직 자급률 26%(2013년 기준)이다.

이번 협약으로 복지부와 양 기관은 장기 인체조직 기증활성화를 위해 통합 관리체계 구축 필요성에 공감하고 장기-조직 기증 연계 강화, 뇌사 장기조직 동시기증자 동의율 제고, 콜센터 통합, 뇌사장기기증증진프로그램(DIP) 공동운영, 통합법 마련 및 지역사무소 단계적 통합 등에 합의했다.

우선, 조직기증이 가능한 뇌사추정자의 경우에는 한국인체조직기증원(KFTD)으로 연계를 강화하여 조직기증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기관별 운영된 기증접수 번호를 의료기관 인지도가 높은 '1577-1458'로 일원화하고, 콜센터도 통합하여 함께 운영하여 효율적인 협업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더불어 양 기관으로 구득체계가 분리되어 기관별로 따로 유가족 상담을 실시하던 것을 장기구득기관으로 장기-조직 기증상담을 일원화하거나 장기-조직 코디네이터 동시출동-동시상담 시범사업을 추진하여 효율적 상담체계를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한국장기기증원이 운영하고 있는 뇌사장기기증증진프로그램(DIP)에 대한 장기-인체조직 공동운영 시범사업도 실시한다.

특히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과 한국장기기증원 이사장, 한국인체조직기증원 이사장으로 구성된 정책협의체를 구성해 입법 효과적 추진, 협력 추진분야 이행상황 점검 및 개선방안 협의, 협력분야 추가 발굴 등을 논의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정진엽 장관은 "MOU 체결은 장기-인체조직 통합관리법 제정 이전에 현행법 체계 하에서 기관 간 업무협력을 대폭 강화하여 적극적으로 장기와 조직기증자를 발굴하기 위한 것으로 기증 활성화 효과뿐만 아니라 향후 통합구득기관 설립 기반을 마련하는데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정책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