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독, 첫 바이오신약 'HL2351' 2상 임상시험 식약처 승인

손의식
발행날짜: 2015-11-26 12:20:01
  • 지속형 항체융합기술 적용, 주 1회 투여 자가염증 질환 치료제 목표

한독(회장 김영진)은 자체 개발하고 있는 첫 번째 바이오신약 자가염증 질환 치료제 ‘HL2351’의 2상 임상시험 계획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26일 밝혔다.

자가염증 질환 치료제 'HL2351'의 2상 임상시험은 'HL2351'의 유효성과 안전성 및 약동․약력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로, 2016년 2월부터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희귀질환인 크리오피린 관련 주기적 증후군(CAPS)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자가염증 질환 치료제 'HL2351'은 한독이 바이오벤처 제넥신의 지속형 기술을 적용해 자체 개발하고 있는 첫 번째 바이오 신약으로, 희귀질환과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한 자가염증질환에 대한 적응증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가염증 질환 치료제로 쓰이는 기존의 인터류킨-1(Interlukin-1) 저해제 아나킨라(anakinra)는 하루에 한 번 주사해야 할 만큼 반감기가 짧았지만, 'HL2351'은 지속형 항체융합기술을 적용해 1주에 한 번만 투여해도 효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HL2351'의 1상 임상시험은 작년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건강한 남성을 대상으로 진행돼 성공적으로 완료됐다.

임상시험 결과, 'HL2351'을 단회 경피 투여한 결과 양호한 안전성과 내약성을 보였으며 'HL2351'에 대한 노출이 용량 증가에 비례해 증가했다.

또 대조약 아나킨라(anakinra)에 비해 반감기가 현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독 연구개발본부 장우익 부사장은 "자가염증 질환 치료제 HL2351은 우수한 효능과 편의성을 가진 혁신적인 차세대 바이오 신약"이라며 "지난해 10월 크리오피린 관련 주기적 증후군으로 개발단계 희귀지정을 받았으며 앞으로 다양한 희귀질환에 대한 임상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독은 'HL2351' 외에도 제넥신과 함께 '지속형 성장호르몬제(GX-H9)'를 개발하고 있다.

지속형 성장호르몬제(GX-H9)는 제넥신이 독자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항체융합기술(Hybrid Fc)을 적용한 차세대 지속형 바이오 신약으로, 매일 투여해야 하는 기존 성장호르몬 제품들에 비해 월 1, 2회로 주사 맞는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제넥신은 지난 10월 중국 타스젠(Tasgen)社와 '지속형 성장호르몬(GX-H9)'을 포함한 '지속형 항체융합 단백질 치료제' 기술을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한독은 총 2500만 달러(약 283억원) 규모의 수익을 기대하게 됐다.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