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터 완치 '키트루다' PD-L1 발현율 높을수록 약발 좋다

이석준
발행날짜: 2015-12-24 09:46:07
  • 기존 화학요법 '도세탁셀'보다 개선된 OS 입증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완치(흑생종)로 유명세를 타고 있는 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가 기존 화학요법 '도세탁셀'보다 유의하게 개선된 전체 생존율(OS)을 입증했다.

PD-L1 발현 모든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다. 특히 PD-L1 발현율이 더 높은 환자들에게 반응이 좋았다.

관련 데이터(KEYNOTE-010)는 2015 유럽 종양학회 인 아시아(ESMO in Asia)에서 발표됐다.

2/3상 KEYNOTE-010 연구는 PD-L1 발현율(TPS)이 1% 이상인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1034명을 대상으로 화학요법 도세탁셀과 '키트루다' 치료 효능을 비교하기 위해 매 3주마다 진행됐다.

투여군은 2mg/kg(n=345)와 10mg/kg 투여군(n=346), '도세탁셀'군(n=343)으로 나눴다.

그 결과, 투여 용량에 관계 없이 '키트루다'군에서 '도세탁셀'군 대비 OS가 유의하게 개선됐다.

용량별로는 '키트루다' 2mg/kg은 29%(HR 0.71, P=0.0008; 95% CI, 0.58-0.88), 10 mg/kg은 39% 개선(HR 0.61, P<0.0001; 95% CI, 0.49-0.75)됐다.

PD-L1 발현율이 높은 환자(TPS가 50% 이상)들에게 더 좋은 OS 결과가 나왔다.

'키트루다' 2mg/kg은 46%(HR 0.54, P=0.0002; 95% CI, 0.38-0.77), 10mg/kg은 50%(HR 0.50, P<0.0001; 95% CI, 0.36-0.70) 개선됐다.

통계적 유의성이 입증되지는 않았지만, 전체 연구 집단에서 '키트루다'는 두 용량 투여 군 모두 무진행생존기간(PFS)을 '도세탁셀'군보다 연장시켰다

MSD는 이번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와 유럽 의약청(EMA)에 '키트루다' 적응증 추가 신청서(sBLA)를 제출할 계획이다.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