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신장칩 개발, 약물독성연구 업그레이드"

발행날짜: 2016-04-26 11:02:25
  • 분당서울대 김세중 교수팀, 약물 부작용 최소화 전기 마련

실제 신장 기능을 하는 인공신장칩 개발로 약물독성연구 수준을 한단계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

김세중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김세중 교수팀(신장내과)은 실제 신장의 기능을 모사하는 '인공 신장 칩(kidney-on-a chip)'을 개발, 이를 통한 최초의 약동학(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제거 등의 양적 시간 과정에 대한 학문) 연구 결과를 바이오가공기술(Biofabrication) 최근호에 발표했다.

인공 신장 칩은 실리콘 상·하판 사이에 실제 신장 세포가 이식된 투과성 막이 있는 구조로, 상판에 있는 홈에 신장 독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우수한 항생제로 평가되는 겐타마이신(gentamicin)을 주입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같은 양의 약물을 다르게 투여하면서 각 모델별로 신장 세포의 피해 정도를 평가했다.

처음에 많은 양의 약물을 주입하고 2시간마다 반으로 줄여가는 '고용량 단시간 주입' 모델과 적은 양의 약물을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주입하는 '저용량 장기간 주입모델'을 비교 대상으로 했다.

임상적으로 신장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어 실제 환자에게 적용하고 있는 모델은 '고용량 단시간 주입' 모델이지만, 다양한 임상연구결과를 종합한 메타분석 연구결과에서는 주입법에 따른 두 모델 간 신장 독성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어서 신뢰할만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이 실제 신장을 모사한 '인공 신장 칩'을 사용해 실험한 결과 '고용량 단시간 주입법'이 '저용량 장시간 주입법'에 비해 신장 세포에 미치는 손상이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포 간 결합 및 세포 투과성 등 세포 주요 기능의 보존 측면에서도 더 우월한 결과를 보였다.

그동안 메타분석이 밝혀내지 못하고 고비용 동물실험으로만 제한적으로 드러났던 결과를 인공 신장 칩이 더 정확하게 효율적으로 밝혀낸 셈이다.

연구를 주도한 김세중 교수는 "이번 연구모델을 이용하면 다양한 약물의 투여방법에 따른 신장 독성 차이를 실제 생체에 가까운 환경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검증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고비용 임상시험의 결과를 미리 예측하는 등 신약개발 분야는 물론, 기존 약물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투여법 등의 연구에도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편, 분당서울대병원 김세중 교수팀과 미국 미시간대학교 타카야마 교수팀의 이번 공동연구는, 인공 장기 칩을 통해 약동학적 연구는 물론 임상시험 자체가 어려웠던 중증환자 약물의 연구까지 가능해졌다는 것을 증명해 약물독성연구의 새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