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사태 불구 작년 외국인 환자 30만 육박

이창진
발행날짜: 2016-05-26 12:07:33
  • 진료수입 6700억원 전년 대비 20% 증가 "비의료서비스 지원"

메르스 사태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를 방문한 한해 외국인 환자가 30만명에 육박했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26일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가 2014년 26만 7000명에서 2015년 29만 7000명으로 11% 증가했다, 2009년 이후 누적 외국인 환자 수가 120만명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2015년도 외국인 환자에 따른 진료수입은 총 6694억원으로 전년대비 20.2% 증가했다. 2009년 이후 총 2조원을 누적 달성했다.

외국인 환자 유치 현황.(2009년~2015년, 단위:만명)
복지부는 2015년 메르스 발행과 유가 및 루블화 가치 하락으로 외국인 환자 유치 시장 축소가 우려됐으나, 30만명에 달하는 환자 유치는 의미있는 성과라고 자평했다.

세부적으로, 환자 국적별 중국이 가장 많고 이어 미국과 러시아, 일본, 카자흐스탄 순을 보였다.

중국의 경우, 작년 한해 환자 수가 전년대비 24.6% 증가한 10만명에 달했다.

카자흐스탄은 1만 2000명으로 전년 대비 56.5% 증가했으며, 베트남도 5300명으로 전년 대비 42.6% 증가했다.

정부간 환자 송출 협약 성과로 중동 국가인 UAE 환자가 2900명으로 전년 대비 11.9% 증가했다.

진료과목별 유치 실적.
우즈베키스탄 환자는 2600명으로 2014년 대비 38.3% 증가해 처음으로 10위권에 진입했다.

진료비의 경우, 1인당 평균 진료비는 225만원이며 1억원 이상 고액환자도 271명으로 전년대비 29.0% 증가했다.

중국인 환자 진료비가 2171억원으로 가장 많고, 러시아 792억원, 미국 745억원, 카자흐스탄 580억원 순을 보였다.

1인당 진료비는 아랍에미리트가 1503만원으로 부동의 자리를 고수했으며 그 다음으로 카자흐스탄 461만원, 러시아 380만원 순이다.

진료과별, 내과가 약 8만명으로 전체 전문과목 중 21.3%를 차지했으며, 성형외과와 건강검진이 각각 4만명(11.1%)과 3만명(9.3%) 순으로 집계됐다.

의료기관 종별 유치 실적.
지역별로는 서울이 55.8%, 경기도 19.5%, 인천 5.4% 순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메디컬코리아지원센터 운영과 미용성형 부가가치세 환급 및 통역과 음식, 관광 등 비의료서비스 양성화 등을 통해 외국인 환자 유치 활성화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동욱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진료수입 뿐 아니라 가족 동반에 따른 관광수익, 일자리 창출 등을 고려할 때 외국인 환자 유치는 부가가치가 높은 미래 핵심 먹거리 산업"이라면서 "비의료서비스 시장 활성화 지원과 환자가족 연계관광 개발 등 2020년 100만명 유치 목표 달성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정책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