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산분비억제제 PPI 만성콩팥질환 위험 늘린다?

원종혁
발행날짜: 2017-02-25 05:00:33
  • 미국보훈병원 대규모 조사 결과, H2 차단제 VS PPI 비교

위산분비억제제인 프로톤펌프억제제(PPI)를 처음 복용하는 환자의 절반 이상에서 만성콩팥질환(CKD) 위험이 제기됐다.

같은 산분비억제제로 H2 차단제와의 비교에서 PPI의 위험성이 더 컸다. 문제는 연구에 대상이 된 환자들이 이전에 급성신손상(AKI)에 대한 어떠한 징후도 경험하지 않았다는 대목이다.

5년간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따져본 미국 성루이스보훈병원 양 지에(Yan Xie) 박사팀의 연구 결과는 국제신장학회지(Kidney International) 2월2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 위산분비억제 치료를 시작한 신환에서, PPI를 사용했을 때 만성콩팥질환을 비롯한 CKD의 악화, 말기신장질환(ESRD) 등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결국 PPI를 사용하려는 환자에서는 이전에 AKI 징후가 없었더라도, 콩팥 상태를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존엔 PPI 치료가 AKI 및 급성간질신장염(acute interstitial nephritis), CKD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AKI의 초기 증상이 없던 환자에서 CKD 위험이 증가한다는 데엔 명확한 근거가 없는 상황이었다.

H2 차단제 vs PPI 사구체여과율에 미치는 위험, 5년치 결과는?

5년간의 연구는 총 12만5596명의 PPI를 처음 사용한 신환과 H2 차단제를 처음 투약한 1만8436명의 미국보훈병원의 자료가 분석됐다.

그 결과, H2 차단제 대비 PPI를 사용한 신환에선 신장기능을 평가하는 잣대인 사구체여과율(eGFR)이 60미만으로 떨어지는 위험도가 22% 더 높았다.

또한 CKD 위험은 26%, 사구체여과율이 30% 이상 감소할 위험도도 22% 더 올라갔다. 주목할 점은 말기신장질환을 의미하는 ESRD 혹은 사구체여과율이 50% 이상 감소할 위험도도 PPI 투약군에서 30%가 높았다.

해당 결과는 다양한 동반질환이나 지역적인 요인을 보정한 결과였다.

이외에도 연구기간 H2 차단제를 사용한 신환에선 AKI로 진행한 비율이 12.67%였던데 비해 PPI 투약군에선 18.24%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PPI 사용군에선 H2 차단제에 비해 만성콩팥기능에 위험도가 높다는 의견들이 있었다"면서 "여기서 AKI에 의해 만성적인 콩팥 상태에 미치는 위험도는 약 44.7%에서 46.7%로 절반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학계 관계자는 "해당 연구는 이전 AKI를 경험하지 않은 환자에서도 PPI 사용시 만성 신손장에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있다는 사실을 제시해 준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