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 후향적 연구분석 "선별검사 통한 진단 생존율 향상"
국립암센터 전립선암센터 이강현 연구팀(서윤석 전임의)이 지난 4일 삼성서울병원에서 열린 제26회 대한전립선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최우수 학술상을 수상했다.

이강현 원장(좌)과 서윤석 전임의.(우)
이강현 연구팀은 말기신장질환 환자의 전립선암 발생률 및 생존율 예측: 중앙암등록통계를 이용한 후향적 연구' 논문으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 연구는 중앙암등록본부 암등록자료를 활용해 2003년에서부터 2010년까지 전립선암으로 진단된 3만 8925명과 이 중 말기신장질환을 앓고 있는 3945명을 대상으로 말기신장질환이 전립선암 환자의 생존 예후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말기신장질환은 전립선암 환자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후 인자 중 하나임을 확인했으며, 말기신장질환이 있는 전립선암 환자의 경우라도 신장이식을 성공적으로 받은 경우에는 말기신장질환이 없는 전립선암 환자군의 생존율과 별 차이가 없음을 밝혔다.
연구책임자인 이강현 원장은 "말기신장질환자라도 전립선암 선별검사를 통해 전립선암 진단을 받고 적절하게 치료를 받으면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중앙암등록본부 암등록자료를 활용해 2003년에서부터 2010년까지 전립선암으로 진단된 3만 8925명과 이 중 말기신장질환을 앓고 있는 3945명을 대상으로 말기신장질환이 전립선암 환자의 생존 예후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말기신장질환은 전립선암 환자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후 인자 중 하나임을 확인했으며, 말기신장질환이 있는 전립선암 환자의 경우라도 신장이식을 성공적으로 받은 경우에는 말기신장질환이 없는 전립선암 환자군의 생존율과 별 차이가 없음을 밝혔다.
연구책임자인 이강현 원장은 "말기신장질환자라도 전립선암 선별검사를 통해 전립선암 진단을 받고 적절하게 치료를 받으면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