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골든벨 개최…우승 서울성모병원 4년차 김성연 전공의

'미국 성형외과 교과서인 네리건(Neliga)은 총 몇 권일까?'
10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 모인 70여명의 성형외과 전공의가 받아든 첫 번째 문제였다. 정답은 6권.
남색 수술모자를 쓰고 번호표를 단 성형외과 전공의 73명은 모두 하얀색 칠판 위에 정답을 적었다.

부천성모병원 성형외과 이중호 교수와 고대안산병원 성형외과 유희진 교수가 진행을 맡았다. 약 40개의 문제는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준비했다.

행사 역시 단순히 문제 풀기로만 그치지 않고 패자부활전, 행운권 추첨 등으로 변화를 시도했다. 문제 유형도 객관식을 비롯해 주관식, OX 퀴즈 등으로 다양했다.
'전문의 자격시험 원서를 접수할 때 성형외과학회 평생회비'를 묻는 질문에서 첫 번째 탈락자가 나왔다.

"성형외과 전공의가 밀라드를 모른단 말이야?"라는 교수들의 높아진 목소리도 웃음소리와 함께 들려왔다.
정답을 쓴 전공의는 화이트보드를 신나게 흔들었고, 오답을 쓴 전공의는 자신의 자리에서 일어나 아쉬움을 남기고 퇴장했다.
성형외과 전공의 골든벨은 최후의 3인이 남을 때까지 진행됐다. 1등에게는 50만원, 2등 30만원, 3등 20만원의 상금이 주어졌다.
19번째 문제까지 가서야 단 3명만이 남았다. 손에 있는 뼈 개수(손목 포함)와 Orbit을 구성하는 뼈의 개수를 묻는 질문이었다. 27개라는 정담을 써낸 전공의는 충남대병원 3년차 권혁재 전공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4년차 김성연, 순천향대병원 3년차 박시현 전공의 였다.
단 3명만이 남자 골든벨을 관전하는 동료 전공의들도 응원을 하기 시작했다.

김성연 전공의의 우승 후 남은 두 전공의는 5문제를 더 풀고 나서야 2위(박시현 전공의)와 3위(권혁재 전공의)로 나눠질 수 있었다.

아이디어의 주인공은 성형외과학회 최종우 학술위원장(서울아산병원)이다.
최 위원장은 "미국 학회에서 학교별 의국 대표가 3명 정도 나와서 토너먼트 형식으로 퀴즈대회를 하는데 맥주를 마시면서 즐거운 분위기에서 진행되는 것을 봤다"며 "우리나라는 골든벨이라는 좋은 형식이 있어 그 형식을 차용해봤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보통 학회에 참여하는 전공의는 대가들이 많은 자리라서 주눅이 든 채로 부스를 돌다 가는데 그치는데 그들을 주인공으로 만드는 자리를 만들고 싶었다"며 "전공의 기를 살리기 위한 자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