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s, 바이탈 신호 센서 레퍼런스 디자인 발표

정희석
발행날짜: 2018-04-30 14:17:29
  • 커프리스 혈압계용 ‘AS7024’ 스마트 헬스·웨어러블 기기 적용

고성능 센서 솔루션 선도기업인 ams(한국지사 대표 이종덕)는 자사 ‘AS7024’를 기반으로 한 통합 바이탈 신호 센서 레퍼런스 디자인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해당 솔루션을 활용하면 24시간 내 빠르고 정확할 뿐 아니라 압박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더욱 편리한 커프리스(cuffless) 혈압 측정이 가능하다.

AS7024 기반 새로운 바이탈 신호 센서 레퍼런스 디자인은 AS7024와 같은 하드웨어는 물론 혈압·심박(Heart Rate Measurement·HRM)·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HRV)·심전도(ElectroCardioGrams·ECG) 측정에 필요한 소프트웨어까지 모두 통합하고 있다.

AS7204 센서 IC는 3개의 LED, 포토다이오드, HRM용 광학 프런트엔드와 시퀀서 그리고 ECG용 아날로그 프런트엔드를 높이가 낮은 6.1mm×2.7mm 크기의 패키지에 통합하고 있다.

이 레퍼런스 디자인은 또한 미주신경 긴장도(vagal tone)와 동맥 탄력성(arterial elasticity) 측정이 가능할 뿐 아니라 외부 센서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부 온도와 피부 저항성까지 측정할 수 있게 지원한다.

특히 AS7024는 폼팩터가 작아 피트니스 밴드, 스마트 워치, 스포츠 시계, 스마트 패치 등 보드 면적이 제한된 애플리케이션에 매우 이상적이며 바이탈 신호 모니터링 활용 범위를 자동차 또는 개인용 헬스 모니터링 같은 다양한 폼팩터와 최종 제품 시장으로 확대할 수 있게 돕는다.

이밖에 AS7024 HRM 동작은 업계에서 검증된 광혈류측정(PhotoPlethysmoGraphy·PPG) 기법을 활용한다.

LED 등의 빛을 혈관에 투사하면 혈액이 통과할 때 혈관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빛의 반사율이 달라지는데 PPG 기법은 이러한 혈관 혈류량 변화를 이용해 맥파를 측정한다.

심전도는 심장의 동방결절(sinoatrial node)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펄스를 측정하는 표준 기술이다.

AS7024 레퍼런스 디자인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ams가 파트너와 공동 개발한 독자 기술로 동기화된 HRM 및 ECG 측정값을 분석해 혈압을 계산한다.

AS7024 혈압 측정 정확도는 오스트리아 그라츠 의과대학(Medical University of Graz)이 IEEE의 커프리스 웨어러블 기기용 표준에 의거해 수행한 임상시험을 통해 성능이 입증됐다.

이 레퍼런스 디자인으로 측정한 결과는 기존 압박대 이용 방식의 수술용 혈압 측정 장비로 확인한 레퍼런스 측정값에 견줄 만 하다.

18~65세 사이 100명 이상 임상시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1000건 이상 측정 결과를 종합했을 때 AS7024 레퍼런스 디자인은 수축기 혈압의 경우 ±7.5 mmHg 이하, 확장기 혈압은 ±5.5 mmHg 이하 오차율을 나타내 우수한 정확도를 입증했다.

ams 토마스 라이너(Thomas Riener) 컬러 및 스펙트럼 센싱 담당 수석부사장은 “AS7024 레퍼런스 디자인 및 혈압 측정 알고리즘은 개인용 헬스 모니터링 기술 영역을 초월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고 말했다.

그는 “AS7024를 활용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정확하고 또 많은 활용 사례들로 뒷받침되는 24시간 혈압 측정 기능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는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압박식 혈압측정을 받아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겪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일상의 편안하고 쾌적한 상태에서 혈압 심박 심장 기능을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경험을 크게 개선해준다”고 설명했다.

의료기기·AI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