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남북 보건의료 협력 구체화 "한반도 전체로 의료시장 확대"
여당과 정부가 급변하는 국제정세에 대비해 의료인과 제약, 의료기기 관련 대북 보건의료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어 주목된다.
과거 정부가 보건의료 분야 단순 지원에 머물렀다면 현정부는 남북과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보건의료 시장을 한반도 전체로 확장하는 상생과 투자 방식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18일 메디칼타임즈 취재결과,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최근 대북한 보건의료 협력 관련 비공개 회의를 갖고 한국 의료기관과 제약기업, 의료기기업체 등의 북한 진출에 공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무총리실 주재로 더불어민주당과 보건복지부 참여 속에 진행된 회의에서 당정은 대북 완화 조치에 대비해 보건의료 남북 협력 중요성에 공감하고 밑그림과 세부방안을 담은 청사진을 첫 공유했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 5월 남북 정상회담 이후 '대북 지원방안 TF'(팀장, 김강립 기획조정실장)를 구성하고 보건의료 분야 북한과의 교류 준비에 착수했다.
현정부 남북 협력 특징은 기존과 전혀 다른 프레임이라는 것.
과거 정부가 민간단체 중심의 의료인 방문과 제약, 의료기기 단순 지원에 그쳤다.
당정은 남북 및 북미 정상 만남으로 대변화에 직면한 만큼 보건의료 분야 단순 지원보다 투자와 상생에 무게를 뒀다.
의료 분야의 경우,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인 교류를 통한 북한 의료계 수준 향상과 저변 확대에 방점을 찍고 있다.
현재 북한은 의원과 병원, 대학병원, 특수병원 등 4단계 의료전달체계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반 국민은 병의원 중심으로, 간부진 등 고위층은 대학병원과 특수병원 등을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북한의 의료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병원(한국의 종합병원 의미) 중심의 타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의사와 간호사, 의료기사 등 세계 수준인 한국 보건의료 인력의 전방위 교류를 검토하고 있다.
필요할 경우, 남북 합작 종합병원 개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정은 체제에서 평양 시내 선진국과 합작인 약국이 문을 연 뒤 호황을 누리고 있는 점도 남북 의료협력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는 시각이다.
당정은 제약 분야를 블루오션으로 내다봤다.
국내 제약사의 기술력과 연구력을 바탕으로 수액제와 전문의약품을 북한에 공급하는 새로운 시장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정부가 토종 제약사 의약품을 구매해 북한에 전달하는 지원 방식에서 출발해 대북 경제완화 조치 이후 국제기구를 통한 원조를 통해 한국 의약품을 직접 북한에 공급하는 방식도 검토 중이다.
특히 한국 제약기업의 북한 내 공장 설치를 통한 인건비 부담 완화와 고용창출 등 양측의 윈-윈' 협력을 적극 고려하고 있다.
의료기기는 북한에서 요구도가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 내에서 첨단 의료기기 공급이 일부 병원에 불과한 만큼 의료기기 교류 시너지 효과는 매우 크다는 평가이다.
보건의료인 교육에서 의료기사를 포함한 이유로 의료기기 협력 차원이다.
당정이 또 하나 주목하는 것은 북한의 고려의학이다.
북한 고려의학이 상당수준이라고 전망하고 한약 재배와 한국 원료의약품 연구와 치료제 기술을 접목하면 고부가가치 전문의약품 개발도 가능하다는 평가이다.
여당 관계자는 "당정이 보건의료 협력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한 밑그림을 공유했다. 첫 회의인 만큼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며 "대북 관련 변수가 존재하고 있어 조심스럽다고 주저하면 다른 국가에 우선권을 뺏길 수 있다"고 남북 보건의료 협력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초기 정부 지원 형태로 시작해 국제기구를 통한 자금 지원과 필요에 따라 북한의 무궁무진한 지하자원을 현물로 받는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면서 "의료기관과 제약 및 의료기기 업체가 북한에 직접 들어가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진정한 협력에 방점을 찍고 있다. 보건의료 시장이 남북을 합친 전체 한반도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했다.
복지부 고위 관계자는 "남북과 북미 정상회담 등 과거와 다른 큰 변화가 예상되나 대북 문제는 아기 다루듯 조심스럽게 가야한다. 보건의료 협력 관련 다양한 방안이 검토 중으로 아직 공개하긴 이르다"고 신중한 입장을 피력했다.
복지부는 남북 보건의료 협력 관련 보건의료정책관을 중심으로 보건의료 부서장과 수시 회의를 통해 대북 협력 밑그림을 구체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과거 정부가 보건의료 분야 단순 지원에 머물렀다면 현정부는 남북과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보건의료 시장을 한반도 전체로 확장하는 상생과 투자 방식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18일 메디칼타임즈 취재결과,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최근 대북한 보건의료 협력 관련 비공개 회의를 갖고 한국 의료기관과 제약기업, 의료기기업체 등의 북한 진출에 공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무총리실 주재로 더불어민주당과 보건복지부 참여 속에 진행된 회의에서 당정은 대북 완화 조치에 대비해 보건의료 남북 협력 중요성에 공감하고 밑그림과 세부방안을 담은 청사진을 첫 공유했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 5월 남북 정상회담 이후 '대북 지원방안 TF'(팀장, 김강립 기획조정실장)를 구성하고 보건의료 분야 북한과의 교류 준비에 착수했다.
현정부 남북 협력 특징은 기존과 전혀 다른 프레임이라는 것.
과거 정부가 민간단체 중심의 의료인 방문과 제약, 의료기기 단순 지원에 그쳤다.
당정은 남북 및 북미 정상 만남으로 대변화에 직면한 만큼 보건의료 분야 단순 지원보다 투자와 상생에 무게를 뒀다.
의료 분야의 경우,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인 교류를 통한 북한 의료계 수준 향상과 저변 확대에 방점을 찍고 있다.
현재 북한은 의원과 병원, 대학병원, 특수병원 등 4단계 의료전달체계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반 국민은 병의원 중심으로, 간부진 등 고위층은 대학병원과 특수병원 등을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북한의 의료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병원(한국의 종합병원 의미) 중심의 타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의사와 간호사, 의료기사 등 세계 수준인 한국 보건의료 인력의 전방위 교류를 검토하고 있다.
필요할 경우, 남북 합작 종합병원 개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정은 체제에서 평양 시내 선진국과 합작인 약국이 문을 연 뒤 호황을 누리고 있는 점도 남북 의료협력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는 시각이다.
당정은 제약 분야를 블루오션으로 내다봤다.
국내 제약사의 기술력과 연구력을 바탕으로 수액제와 전문의약품을 북한에 공급하는 새로운 시장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정부가 토종 제약사 의약품을 구매해 북한에 전달하는 지원 방식에서 출발해 대북 경제완화 조치 이후 국제기구를 통한 원조를 통해 한국 의약품을 직접 북한에 공급하는 방식도 검토 중이다.
특히 한국 제약기업의 북한 내 공장 설치를 통한 인건비 부담 완화와 고용창출 등 양측의 윈-윈' 협력을 적극 고려하고 있다.
의료기기는 북한에서 요구도가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 내에서 첨단 의료기기 공급이 일부 병원에 불과한 만큼 의료기기 교류 시너지 효과는 매우 크다는 평가이다.
보건의료인 교육에서 의료기사를 포함한 이유로 의료기기 협력 차원이다.
당정이 또 하나 주목하는 것은 북한의 고려의학이다.
북한 고려의학이 상당수준이라고 전망하고 한약 재배와 한국 원료의약품 연구와 치료제 기술을 접목하면 고부가가치 전문의약품 개발도 가능하다는 평가이다.
여당 관계자는 "당정이 보건의료 협력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한 밑그림을 공유했다. 첫 회의인 만큼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며 "대북 관련 변수가 존재하고 있어 조심스럽다고 주저하면 다른 국가에 우선권을 뺏길 수 있다"고 남북 보건의료 협력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초기 정부 지원 형태로 시작해 국제기구를 통한 자금 지원과 필요에 따라 북한의 무궁무진한 지하자원을 현물로 받는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면서 "의료기관과 제약 및 의료기기 업체가 북한에 직접 들어가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진정한 협력에 방점을 찍고 있다. 보건의료 시장이 남북을 합친 전체 한반도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했다.
복지부 고위 관계자는 "남북과 북미 정상회담 등 과거와 다른 큰 변화가 예상되나 대북 문제는 아기 다루듯 조심스럽게 가야한다. 보건의료 협력 관련 다양한 방안이 검토 중으로 아직 공개하긴 이르다"고 신중한 입장을 피력했다.
복지부는 남북 보건의료 협력 관련 보건의료정책관을 중심으로 보건의료 부서장과 수시 회의를 통해 대북 협력 밑그림을 구체화하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