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러시아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시범사업

정희석
발행날짜: 2018-06-25 12:32:13
  • 시베리아열차·지방병원·모스크바 중앙병원 협진체계 구축

모스크바 제1중앙병원 의료진들이 약 300km 떨어진 야로슬라블(Yaroslavl)병원 의료진들과 원격협진을 시연하고 있다.
KT(회장 황창규)는 분당서울대병원(병원장 전상훈)과 함께 러시아 모스크바 러시안 레일웨이즈(Russian Railways) 제1중앙병원에서 ‘한국형 디지털 헬스케어 협력사업 개시’ 기념식을 가졌다고 24일 밝혔다.

러시안 레일웨이즈는 세계 3대 철도 운송회사 중 하나로 러시아 전역에 173개 병원도 운영하고 있다.

KT는 지난해 12월 러시안 레일웨이즈와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역사병원 및 시베리아열차 안에서 1차 진료가 가능한 모바일 건강진단솔루션을 시범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KT와 분당서울대병원은 이날 기념식에서 모스크바 제1중앙병원, 모스크바에서 약 200km 떨어진 툴라(Tula) 소재 병원, 약 300Km 떨어진 야로슬라블(Yaroslavl) 병원과 3자간 원격협진을 시연했다.

의사가 부족한 지방도시 병원에 방문한 환자들의 심박동·갑상선 상태 등을 모바일 진단기기로 측정하고 KT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에 진단 결과를 저장하면 모스크바 제1중앙병원 의료진들이 플랫폼을 통해 진단결과를 확인하고 화상으로 원격진료를 진행할 수 있다.

KT는 7월까지 러시안 레일웨이즈 제1중앙병원과 지방병원 5곳에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및 솔루션을 구축하고 이후 시베리아 횡단열차에도 동일한 시스템을 구축해 열차와 병원 간 원격협진을 제공할 예정이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진단결과를 토대로 한·러 간 의료자문과 현지 의료진 교육을 담당한다.

KT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은 ▲혈액검사기 ▲혈당기 ▲모바일초음파기기 ▲디지털청진기와 같은 모바일 진단기기를 통해 심혈관 질환(협심증·심근경색), 호흡기 질환, 당뇨, 전립선암 등 질환을 진단하거나 간단한 초음파 검진으로 신장, 간, 담낭 등 복부 장기 이상유무 확인, 임산부 태아 초음파 검사, 근골격계, 혈관 기본검사 등을 적시에 시행할 수 있다.

KT는 이밖에도 AI영상진단솔루션을 적용해 X-ray 사진으로 폐암 등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KT 미래융합사업추진실 윤경림 부사장은 “그간 상급병원·지방병원 간 화상통화 중심 원격협진 사례가 주를 이뤘다면 이번 사업은 공유된 진단결과를 활용한 원격협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디지털 헬스케어를 통한 의료 인프라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설명했다.

그는 “KT는 이번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의료사각지역 의료역량 개선사업을 더욱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분당서울대병원 전상훈 병원장은 “지식기반사회에서 ICT기업과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이 협업했을 때 강력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다”며 “이번 프로젝트가 대표적인 동반진출 모델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의료기기·AI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