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의대 최현일 교수팀, 헵시딘 호르몬 항균작용 역할 규명
생체내 철(Fe) 농도를 조절, 식중독균인 살모넬라의 감염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이 나왔다.
최현일 교수(전남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민정준 교수(화순전남대병원 핵의학과) 연구팀은 철 대사를 조절해 세균감염과 패혈증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감염제어법에 관한 논문을 최근 발표했다.
이 논문은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도 게재됐다.
연구팀은 세포막의 단백질인 FPN1을 통해 세포 내외의 철농도를 조절하는 '헵시딘'이라는 호르몬에 주목했다.
헵시딘이 살모넬라가 증식하는 대식세포내 소기관(SCV)에도 작용, 철농도가 조절됨을 밝혀냈다. 헵시딘에 의한 철 대사 조절은 항균작용을 하는 활성산소(ROS)의 생성과 연관이 있다는 점도 규명했다.
연구에 따르면, 헵시딘에 의해 대식세포내 소기관 안의 철 농도가 감소하면, 대식세포에서 활성산소 생성이 막혀 살모넬라가 활발히 증식했다.
반면, 동물감염실험에서 헵시딘 발현 억제제인 GSK5182를 주입하면 활성산소가 증가돼 살모넬라를 효과적으로 사멸시켰다.
최현일 교수는 "병원균과 숙주 모두에게 중요한 핵심 공유인자로서 철 성분의 중요성을 규명해 세균감염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신개념의 비항생제성 감염치료제와 치료보조제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최현일 교수(전남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민정준 교수(화순전남대병원 핵의학과) 연구팀은 철 대사를 조절해 세균감염과 패혈증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감염제어법에 관한 논문을 최근 발표했다.
이 논문은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도 게재됐다.
연구팀은 세포막의 단백질인 FPN1을 통해 세포 내외의 철농도를 조절하는 '헵시딘'이라는 호르몬에 주목했다.
헵시딘이 살모넬라가 증식하는 대식세포내 소기관(SCV)에도 작용, 철농도가 조절됨을 밝혀냈다. 헵시딘에 의한 철 대사 조절은 항균작용을 하는 활성산소(ROS)의 생성과 연관이 있다는 점도 규명했다.
연구에 따르면, 헵시딘에 의해 대식세포내 소기관 안의 철 농도가 감소하면, 대식세포에서 활성산소 생성이 막혀 살모넬라가 활발히 증식했다.
반면, 동물감염실험에서 헵시딘 발현 억제제인 GSK5182를 주입하면 활성산소가 증가돼 살모넬라를 효과적으로 사멸시켰다.
최현일 교수는 "병원균과 숙주 모두에게 중요한 핵심 공유인자로서 철 성분의 중요성을 규명해 세균감염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신개념의 비항생제성 감염치료제와 치료보조제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연구의의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