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병원 김종성 교수, 의철학 도서 출간
충남대병원 김종성 교수(가정의학과)가 동양 고전과 서양의학 고전의 만남을 통한 의철학 도서 『마음이 편하지 않을 때는 한 걸음 걸어라』(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를 출간했다.
의학 분야의 가장 오래된 고전인 ‘히포크라테스 전집’과 성리학 분야의 고전들이 시공간을 초월해 나누는 대화로 현대인들의 마음 건강을 위해,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와 성리학의 완결자 퇴계가 나누는 대화를 묵상하는 책이다.
현대인의 건강한 영적 삶을 위한 주요 인문학적 주제들인, , , , , , , 등을 의철학적 관점에서 다뤘다.
동서양 성현들이 지극 정성으로 걸어가신 삶의 길을 묵상하고, 책의 마지막 부분에는 500여 년 전에 퇴계가 쓴 가사를 김 교수가 직접 작곡한 '그분들이 가신 길'이라는 노래로 엮어냈다.
김 교수가 이번에 출간한 책은 의학 분야의 가장 오래된 고전과 성리학 분야의 고전들을 융합하여 의철학 관점으로 최초 정리한 것으로, 이와 같은 작업은 성리학 분야 종사자나 의학 분야 종사자들에게 꼭 필요하지만, 쉽게 기획하기 어려운 부분.
학문적 관점에서 볼 때, 단절되어 있는 동양의 전통 성리학과 최첨단 뇌 과학을 바탕으로 하는 현대의학을 연결하는 ‘융합적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김종성 교수는 "철학을 의학에 이식하고 의학을 철학에 이식하라"고 한 히포크라테스의 말을 인용하면서 "묵상을 한다는 것은 삶에 대한 정성이며 삶에 대한 사랑이다. 히포크라테스와 퇴계, 그리고 동양의 성리학자들은 자신의 삶을 살아가면서 어떤 고민을 하였고, 어떤 대화를 나누었으며, 어떤 묵상의 결과물들을 남겼는지 궁금해서 이 책을 저술하게 됐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히포크라테스와 동양의 성현들은 물질과 경쟁에 물들어 '도심'과 '전두엽'이 약해진 현대의 지구인들에게, 건강한 영성을 위해 '정성'과 '사랑'이라는 치료약을 공통으로 처방하고 있었다"고 말한다.
김 교수는 퇴계사상과 관련한 철학논문 「행동조절에 대한 성리학과 뇌 과학 이론의 현상학적 상통성과 의학적 함의: 퇴계 심학(心學)을 중심으로」(유학연구, 2017)으로 대한가정의학회 ‘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성리학의 선행후지 철학이론을 환자치료 프로그램으로 검증한 「Adapting a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in treating alcohol dependence in south Korea」 논문을 SSCI 학술지(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2007)에 발표한 바 있다. 저서로는 『의사가 만난 퇴계, 5판』(궁미디어, 2017) 등 26권을 저술했다.
의학 분야의 가장 오래된 고전인 ‘히포크라테스 전집’과 성리학 분야의 고전들이 시공간을 초월해 나누는 대화로 현대인들의 마음 건강을 위해,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와 성리학의 완결자 퇴계가 나누는 대화를 묵상하는 책이다.
현대인의 건강한 영적 삶을 위한 주요 인문학적 주제들인, , , , , , , 등을 의철학적 관점에서 다뤘다.
동서양 성현들이 지극 정성으로 걸어가신 삶의 길을 묵상하고, 책의 마지막 부분에는 500여 년 전에 퇴계가 쓴 가사를 김 교수가 직접 작곡한 '그분들이 가신 길'이라는 노래로 엮어냈다.
김 교수가 이번에 출간한 책은 의학 분야의 가장 오래된 고전과 성리학 분야의 고전들을 융합하여 의철학 관점으로 최초 정리한 것으로, 이와 같은 작업은 성리학 분야 종사자나 의학 분야 종사자들에게 꼭 필요하지만, 쉽게 기획하기 어려운 부분.
학문적 관점에서 볼 때, 단절되어 있는 동양의 전통 성리학과 최첨단 뇌 과학을 바탕으로 하는 현대의학을 연결하는 ‘융합적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김종성 교수는 "철학을 의학에 이식하고 의학을 철학에 이식하라"고 한 히포크라테스의 말을 인용하면서 "묵상을 한다는 것은 삶에 대한 정성이며 삶에 대한 사랑이다. 히포크라테스와 퇴계, 그리고 동양의 성리학자들은 자신의 삶을 살아가면서 어떤 고민을 하였고, 어떤 대화를 나누었으며, 어떤 묵상의 결과물들을 남겼는지 궁금해서 이 책을 저술하게 됐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히포크라테스와 동양의 성현들은 물질과 경쟁에 물들어 '도심'과 '전두엽'이 약해진 현대의 지구인들에게, 건강한 영성을 위해 '정성'과 '사랑'이라는 치료약을 공통으로 처방하고 있었다"고 말한다.
김 교수는 퇴계사상과 관련한 철학논문 「행동조절에 대한 성리학과 뇌 과학 이론의 현상학적 상통성과 의학적 함의: 퇴계 심학(心學)을 중심으로」(유학연구, 2017)으로 대한가정의학회 ‘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성리학의 선행후지 철학이론을 환자치료 프로그램으로 검증한 「Adapting a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in treating alcohol dependence in south Korea」 논문을 SSCI 학술지(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2007)에 발표한 바 있다. 저서로는 『의사가 만난 퇴계, 5판』(궁미디어, 2017) 등 26권을 저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