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의사회, 역할 분담 통한 시너지 제안 "급성기 환자 악화"
정부가 치매국가책임제 등을 추진하며 치매안심센터 등을 열고 있지만 수요에 턱없이 부족한 시설로 문제가 되고 있는 만큼 민간 기관을 활용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다.
공공기관에서 밀려드는 환자를 다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만큼 치매국가책임제의 취지를 달성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한신경과의사회 이은하 회장은 14일 밀레니엄서울힐튼호텔에서 열린 추계학술대회에서 치매 환자 관리에 대해 이같은 방안을 제안했다.
이 회장은 "우리나라가 고령화사회로 접어들면서 치매 환자가 급증하고 있고 정부에서도 치매국가책임제 등을 통해 정책적 지원을 하고 있다"며 "치매안심센터도 그중 하나이긴 하지만 아직까지 부족함이 많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무료로 정밀인지검사 등이 이뤄지다보니 환자들이 몰리면서 일부 센터에서는 대기환자가 수백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치매를 진단받기 위해 두세달씩 센터의 진료를 기다려야 한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신속히 치료가 필요한 급성기 치매환자 등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치매안심센터만 바라보며 두세달씩 골든타임을 놓치고 있다는 것.
정부가 지향하는 치매국가책임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단순히 공공기관에 집중된 인프라를 넘어 전국에 배치된 민간 기관과 함께 하는 통합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것이 신경과의사회의 제언이다.
이은아 회장은 "정부가 바라는 치매국가책임제가 제대로 굴러가려면 최대한 빠르고 정확하게 환자를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하지만 일부 공공기관과 시설에서 몇달씩 정체로 시간을 버리고 있는 것이 옳은 일인지 생각해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전국에 수많은 신경과 병의원이 있는데 굳이 이러한 역할을 공공기관과 시설만이 담당해야 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일"이라며 "국가예방접종과 같이 공공과 민간이 함께 협력해 치매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진정한 치매국가책임제가 이뤄질 수 있다"고 주문했다.
치매안심센터 등 공공기관과 시설에서 감당할 수 있는 환자는 관리하되 곧바로 대처할 수 없을 정도로 수요가 공급을 넘어서면 미리 등록된 협력 병의원 등을 통해 이에 대처하는 방식 등이 필요하다는 제안이다.
이 회장은 공공기관이냐 민간기관이냐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국민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를 생각해야 한다"며 "공공과 민간이 기능을 상호 보완하며 발을 맞춰 간다면 몇달씩 기다리며 급성기 질환을 악화시키는 상황은 막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공공기관에서 밀려드는 환자를 다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만큼 치매국가책임제의 취지를 달성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한신경과의사회 이은하 회장은 14일 밀레니엄서울힐튼호텔에서 열린 추계학술대회에서 치매 환자 관리에 대해 이같은 방안을 제안했다.
이 회장은 "우리나라가 고령화사회로 접어들면서 치매 환자가 급증하고 있고 정부에서도 치매국가책임제 등을 통해 정책적 지원을 하고 있다"며 "치매안심센터도 그중 하나이긴 하지만 아직까지 부족함이 많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무료로 정밀인지검사 등이 이뤄지다보니 환자들이 몰리면서 일부 센터에서는 대기환자가 수백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치매를 진단받기 위해 두세달씩 센터의 진료를 기다려야 한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신속히 치료가 필요한 급성기 치매환자 등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치매안심센터만 바라보며 두세달씩 골든타임을 놓치고 있다는 것.
정부가 지향하는 치매국가책임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단순히 공공기관에 집중된 인프라를 넘어 전국에 배치된 민간 기관과 함께 하는 통합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것이 신경과의사회의 제언이다.
이은아 회장은 "정부가 바라는 치매국가책임제가 제대로 굴러가려면 최대한 빠르고 정확하게 환자를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하지만 일부 공공기관과 시설에서 몇달씩 정체로 시간을 버리고 있는 것이 옳은 일인지 생각해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전국에 수많은 신경과 병의원이 있는데 굳이 이러한 역할을 공공기관과 시설만이 담당해야 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일"이라며 "국가예방접종과 같이 공공과 민간이 함께 협력해 치매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진정한 치매국가책임제가 이뤄질 수 있다"고 주문했다.
치매안심센터 등 공공기관과 시설에서 감당할 수 있는 환자는 관리하되 곧바로 대처할 수 없을 정도로 수요가 공급을 넘어서면 미리 등록된 협력 병의원 등을 통해 이에 대처하는 방식 등이 필요하다는 제안이다.
이 회장은 공공기관이냐 민간기관이냐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국민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를 생각해야 한다"며 "공공과 민간이 기능을 상호 보완하며 발을 맞춰 간다면 몇달씩 기다리며 급성기 질환을 악화시키는 상황은 막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