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십이지장 절제 복강경·개복술 차이 없다

황병우
발행날짜: 2019-07-23 11:08:57
  • 근치적 치료‧합병증‧재입원율 등에서 동등한 효과 나타나
    연세암병원 강창무 교수팀 복강경 및 개복수술 비교 분석

국내의료진이 복강경을 이용한 췌‧십이지장 절제술이 기존 개복 수술과 동등한 수술 효과를 보인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전 세계적으로도 복강경 췌-십이지장 절제술에 대한 대규모 임상 경험을 발표한 의료 기관은 많지 않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강창무 교수
연세암병원 췌장담도암센터 강창무 교수팀은 복강경을 이용한 췌‧십이지장 절제술과 개복수술을 비교분석한 내용을 밝혔다.

췌‧십이지장 절제술은 우리 몸의 담도와 췌장관이 십이지장에서 만나는 팽대부 주변에 생기는 악성 및 경계성 종양에서 시행되는 표준 술식이다.

다만, 이 수술은 췌장과 십이지장 주변의 복잡한 해부학 구조로 수술이 까다로우며, 종양 절제 후 남아 있는 잔존 췌장과 담도 그리고 소화기관을 다시 정교하게 재건해야 하는 점에서 고난도 수술로 분류된다.

이번 임상경험 비교는 2012년 9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연세암병원에서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받은 217명의 환자(기존 개복 수술 113명, 복강경을 이용해 수술 104명)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복강경을 이용한 췌-십이지장 절제술의 안전성과 타당성을 비교했다.

이와 함께 1:1 성향 점수 매칭 분석(1:1 propensity score-matched analysis)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자료와 수술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이 이뤄졌으며. 100건 이상의 이전 연구 결과도 검토했다.

먼저 출혈(Blood loss) 부분에서는 복강경 수술은 244.7mL, 개복 수술은 548.1mL로, 복강경 수술은 작은 상처만으로도 출혈이 적은 수술이 가능했다.

이밖에 다른 부분에서는 동등한 효과를 보였다. 수술적 완치 정도를 판단하는 근치적 치료율은 복강경 96.2%, 개복 99.1%를 나타냈다.

수술 후 췌장 누공 합병증(Postoperative Pancreatic Fistula)은 복강경 13.5%, 개복 18.8%를 분석됐다.

또한 재입원율은 복강경 5.8%, 개복 8%, 수술 후 입원 기간은 복강경 18.3일, 개복 17.9일로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다. 두 그룹 간에 30일과 90일 사망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즉, 이번 분석을 통해 복강경을 이용한 췌-십이지장 절제술이 기존 개복 수술과 동등한 수술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강창무 교수는 "복강경 췌-십이지장 절제술에 적합한 환자들에 있어서 이 수술은 기존 개복수술과 동등한 수술 효과를 보이면서, 미세침습적 수술의 장점인 작은 흉터, 통증 경감, 빠른 회복, 출혈량의 감소 등의 효과를 살릴 수 있다"라며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은 팽대부 주위에 악성 및 경계성 종양 병변을 가진 환자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강창무 교수팀이 임상경험은 지난 8일 국제학술지 'Surgical Endoscopy'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미세침습적 수술 관련 연구를 전문으로 다루는 'Surgical Endoscopy'는 외과계 국제 학술지 순위 상위 10% 안에 드는 유명학술지이다.

학술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