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 통계 분석, 수도권과 지방 격차 "지방 응급의료 강화해야"
전국 252개 지자체 중 중증외상은 절반 가까이 급성심근경색은 3곳 중 2곳이 치료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골든아워 내 응급실에 도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및 광역시는 중증외상 및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골든아워’ 준수 지역이 많은 데 비해 지방의 시군구는 매우 저조한 것으로 드러나 응급의료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종합적인 응급의료 이송관리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민주평화당 김광수 의원(전주시갑, 보건복지위)은 21일 국정감사 보도자료를 통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2019년 8월 중증외상 및 급성심근경색 발병 후 응급실 도착시간 및 응급실 도착 중 사망현황' 자료에 따르면, 중증외상과 급성심근경색으로 응급실 도착 중 사망한 길거리 사망자가 2362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중증외상으로 응급실 이송 중 길거리에서 사망한 사람은 총 1793명이었고, 급성심근경색 길거리 사망자는 총 569명으로 나타났다. 7세 이하 소아환자의 경우도 응급실 이송 중 645명이나 길거리에서 목숨을 잃은 것으로 드러났다.
골든아워 준수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 전체 시군구별 중증외상 및 급성심근경색 발병 후 응급실까지 도착시간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에서 8월까지 중증외상 발생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건수는 전체 3만 1744건이었고 급성심근경색 발생으로 응급실 내원건수는 1만 9217건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발병 이후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골든아워가 1시간으로 알려져 있는 중증외상 경우, 전체 시군구 252곳의 중증외상 발병 후 응급실까지의 도착시간(중앙값, 도착 순서대로 환자를 줄 세웠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사람의 시간)이 골든아워를 초과한 시군구가 전체 절반에 가까운 118곳(46.8%)이었으며, 골든아워를 준수한 시군구는 134곳(53.2%)으로 나타났다.(미상 1379건 제외)
발병 이후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골든아워가 2시간으로 알려져 있는 급성심근경색 경우, 전체 시군구 252곳의 급성심근경색 발생 이후 응급실까지 도착시간(중앙값)이 골든아워인 2시간을 초과한 시군구는 161곳(63.9%)에 달해 전국 시군구 3곳 중 2곳은 급성심근경색 골든아워 사각지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골든 아워 수도권과 대도시, 지방간의 격차도 컸다.
충북 청주시 서원구의 중증외상 발생 후 응급실까지의 도착 시간은 31분으로 가장 짧은 반면 경북 울릉군은 중증외상 발생 후 도착까지 422분이 걸려 13.6배 차이가 났다. 내륙으로 범위를 한정해도 190분을 기록한 전남 고흥군과 6.1배 차이를 보였다.
수도권·광역시에 속해있는 시군구 119곳 중 골든아워를 준수한 시군구는 95곳에 달했지만, 지방의 133곳 중 골든아워를 준수한 시군구는 39곳에 불과했다.
준수하지 못한 시군구가 많은 지역은 ▲전남으로 22개 시군구 중 4개 시군구만이 골든아워를 준수했으며, 이어 ▲강원(18개 시군구 중 4개 시군구 준수) ▲충남(16개 시군구 중 4개 시군구 준수) ▲전북(16개 시군구 중 4개 시군구 준수) 순이다.
급성심근경색 경우도 동일했다.
수도권·광역시 시군구 119곳 중 65곳이 골든아워 내에 응급실에 도착한 반면, 지방의 경우 133곳 중 26곳만이 골든아워를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
골든아워를 준수한 시군구가 많은 지역은 ▲대전(시군구 5곳 모두 준수) ▲인천(10곳 중 7곳 준수) ▲서울(25곳 중 1곳 준수) 등 수도권 및 광역시였으며, 골든아워 초과가 많은 지역은 ▲전남(22 곳 중 2곳 준수) ▲전북(15곳 중 2곳 준수) ▲충남(16곳 중 3곳 준수) 등 주로 지방이다.
김광수 의원은 "중증외상 환자와 급성심근경색 환자는 분초를 다투는 급박한 환자인 만큼 치료의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골든아워를 지킬 수 있도록 신속한 이송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라면서 "하지만 올해 전체 255개 시군구 중 중증외상 발생 후 응급실까지 도착한 시간이 골든아워를 초과한 곳은 118곳(46.8%), 급성심근경색은 161곳(64%)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상대적으로 의료 인프라가 풍부한 수도권과 광역시의 골든아워 준수율에 비해 지방의 골든아워 준수율은 현저히 떨어지고 있어 수도권·대도시와 지방 간 응급의료 격차도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수도권·지방 간 응급의료 불균형이 확인된 만큼, 신속히 지방의 응급의료 강화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2017년 이후 중증외상 발생 후 도착 중 사망자’ 시도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경기 323명 ▲경북 162명 ▲서울 149명 ▲충북 125명 ▲부산 112명 ▲충남 107명 ▲경남 106명 ▲인천 98명 ▲대구 85명 ▲강원 83명 ▲울산 70명 ▲전남 58명 ▲대전 52명 ▲전북 41명 ▲광주 38명 ▲제주 37명 ▲세종 11명 ▲미상 136명 등 총 1793명이 사망했다.
또한, 급성심근경색 발생 후 도착 중 사망자 시도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경기 93명 ▲서울 73명 ▲경북 54명 ▲강원 43명 ▲충남 36명 ▲울산 33명 ▲인천 28명 ▲부산 27명 ▲대구 23명 ▲충북 21명 ▲전북 19명 ▲전남 18명 ▲경남 17명 ▲광주 16명 ▲대전 12명 ▲제주 7명 ▲세종 1명 ▲미상 38명 등 총 569명 등으로 집계됐다.
수도권 및 광역시는 중증외상 및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골든아워’ 준수 지역이 많은 데 비해 지방의 시군구는 매우 저조한 것으로 드러나 응급의료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종합적인 응급의료 이송관리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민주평화당 김광수 의원(전주시갑, 보건복지위)은 21일 국정감사 보도자료를 통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2019년 8월 중증외상 및 급성심근경색 발병 후 응급실 도착시간 및 응급실 도착 중 사망현황' 자료에 따르면, 중증외상과 급성심근경색으로 응급실 도착 중 사망한 길거리 사망자가 2362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중증외상으로 응급실 이송 중 길거리에서 사망한 사람은 총 1793명이었고, 급성심근경색 길거리 사망자는 총 569명으로 나타났다. 7세 이하 소아환자의 경우도 응급실 이송 중 645명이나 길거리에서 목숨을 잃은 것으로 드러났다.
골든아워 준수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 전체 시군구별 중증외상 및 급성심근경색 발병 후 응급실까지 도착시간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에서 8월까지 중증외상 발생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건수는 전체 3만 1744건이었고 급성심근경색 발생으로 응급실 내원건수는 1만 9217건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발병 이후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골든아워가 1시간으로 알려져 있는 중증외상 경우, 전체 시군구 252곳의 중증외상 발병 후 응급실까지의 도착시간(중앙값, 도착 순서대로 환자를 줄 세웠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사람의 시간)이 골든아워를 초과한 시군구가 전체 절반에 가까운 118곳(46.8%)이었으며, 골든아워를 준수한 시군구는 134곳(53.2%)으로 나타났다.(미상 1379건 제외)
발병 이후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골든아워가 2시간으로 알려져 있는 급성심근경색 경우, 전체 시군구 252곳의 급성심근경색 발생 이후 응급실까지 도착시간(중앙값)이 골든아워인 2시간을 초과한 시군구는 161곳(63.9%)에 달해 전국 시군구 3곳 중 2곳은 급성심근경색 골든아워 사각지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골든 아워 수도권과 대도시, 지방간의 격차도 컸다.
충북 청주시 서원구의 중증외상 발생 후 응급실까지의 도착 시간은 31분으로 가장 짧은 반면 경북 울릉군은 중증외상 발생 후 도착까지 422분이 걸려 13.6배 차이가 났다. 내륙으로 범위를 한정해도 190분을 기록한 전남 고흥군과 6.1배 차이를 보였다.
수도권·광역시에 속해있는 시군구 119곳 중 골든아워를 준수한 시군구는 95곳에 달했지만, 지방의 133곳 중 골든아워를 준수한 시군구는 39곳에 불과했다.
준수하지 못한 시군구가 많은 지역은 ▲전남으로 22개 시군구 중 4개 시군구만이 골든아워를 준수했으며, 이어 ▲강원(18개 시군구 중 4개 시군구 준수) ▲충남(16개 시군구 중 4개 시군구 준수) ▲전북(16개 시군구 중 4개 시군구 준수) 순이다.
급성심근경색 경우도 동일했다.
수도권·광역시 시군구 119곳 중 65곳이 골든아워 내에 응급실에 도착한 반면, 지방의 경우 133곳 중 26곳만이 골든아워를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
골든아워를 준수한 시군구가 많은 지역은 ▲대전(시군구 5곳 모두 준수) ▲인천(10곳 중 7곳 준수) ▲서울(25곳 중 1곳 준수) 등 수도권 및 광역시였으며, 골든아워 초과가 많은 지역은 ▲전남(22 곳 중 2곳 준수) ▲전북(15곳 중 2곳 준수) ▲충남(16곳 중 3곳 준수) 등 주로 지방이다.
김광수 의원은 "중증외상 환자와 급성심근경색 환자는 분초를 다투는 급박한 환자인 만큼 치료의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골든아워를 지킬 수 있도록 신속한 이송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라면서 "하지만 올해 전체 255개 시군구 중 중증외상 발생 후 응급실까지 도착한 시간이 골든아워를 초과한 곳은 118곳(46.8%), 급성심근경색은 161곳(64%)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상대적으로 의료 인프라가 풍부한 수도권과 광역시의 골든아워 준수율에 비해 지방의 골든아워 준수율은 현저히 떨어지고 있어 수도권·대도시와 지방 간 응급의료 격차도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수도권·지방 간 응급의료 불균형이 확인된 만큼, 신속히 지방의 응급의료 강화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2017년 이후 중증외상 발생 후 도착 중 사망자’ 시도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경기 323명 ▲경북 162명 ▲서울 149명 ▲충북 125명 ▲부산 112명 ▲충남 107명 ▲경남 106명 ▲인천 98명 ▲대구 85명 ▲강원 83명 ▲울산 70명 ▲전남 58명 ▲대전 52명 ▲전북 41명 ▲광주 38명 ▲제주 37명 ▲세종 11명 ▲미상 136명 등 총 1793명이 사망했다.
또한, 급성심근경색 발생 후 도착 중 사망자 시도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경기 93명 ▲서울 73명 ▲경북 54명 ▲강원 43명 ▲충남 36명 ▲울산 33명 ▲인천 28명 ▲부산 27명 ▲대구 23명 ▲충북 21명 ▲전북 19명 ▲전남 18명 ▲경남 17명 ▲광주 16명 ▲대전 12명 ▲제주 7명 ▲세종 1명 ▲미상 38명 등 총 569명 등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