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① 의원급 병상, 3년 사이 1만3000여곳 감소
"병상 운영하면 적자 현실…의원도 최소한의 입원실 필요"
분석① 해마다 줄고 있는 의원 병상
병상을 운영하는 의원이 해마다 줄고 있다. 개원 환경에서 입원실까지 갖춘 상태에서 수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메디칼타임즈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국회에 제출한 의원급 병상 운영 현황 데이터에서 2017~19년 2분기 자료를 분석했다.
결과를 보면 전체 의원 숫자는 해마다 조금씩 늘고 있지만 의원이 운영하는 병상 수는 줄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2017년 2분기 전체 의원 숫자는 3만806곳에서 올해 2분기 3만2383곳으로 1577곳 늘었다. 3년 사이 해마다 약 1000곳씩 증가했다.
반면 병상수는 2017년 2분기 7만5578곳에서 지난해 6만2134곳으로 1만3444곳 줄었다.
의원 한 곳당 병상 운영 현황을 단순 계산해보면 2017년 2분기에는 의원 한 곳당 2.5병상을 갖고 있었지만 2018년에는 2.2병상, 2019년에는 1.9병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진료과목별로 보면 의원급 병상 감소 현상은 정신건강의학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산부인과에서 두드러졌다.
정신건강의학과는 2017년 3058병상에서 지난해 2031병상으로 1027병상 줄었다. 2017년에는 의원 한 곳당 3.1병상을 운영하고 있었다면 지난해는 2.4병상, 올해는 1.7병상으로까지 떨어졌다.
전문과목 중 가장 많은 병상을 운영하고 있는 정형외과 의원 병상 수도 눈에 띄게 줄었다. 2만6722병상에서 2만937병상으로 6000병상 가까이 감소한 것. 정형외과 의원 한 곳당 13.3병상을 운영했었는데 올해는 9.7병상으로 줄어 10병상도 채 운영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 온 것이다.
신경외과도 4057병상에서 686병상이 줄어 3371병상이다. 산부인과 역시 6167병상에서 1423병상이나 감소해 4744병상이었다.
이처럼 의원에서 입원실 운영을 포기하고 있는 이유는 수익성이 크지 않다는 게 가장 크게 작용했다.
대한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 관계자는 "의원급 입원실은 외곽에 있는 게 아니라 도심에 있기 때문에 임대료, 인건비 등 비용 부담이 훨씬 크다"며 "야간에도 상주 인력이 있어야 하는 등 운영이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대한신경외과의사회 관계자도 "병상을 돌리면 돌릴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라며 "병상을 운영해도 이익은 적고 실손보험사들의 소송 타깃이 될 수 있으니 개원가에서는 단순 통증 시술 중심의 외래진료만 선택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의원은 경증질환 환자 중심의 외래진료를 중점적으로 해야 한다는 정부의 정책 방향과도 자연스럽게 맞아떨어지게 된다.
정형외과의사회 관계자는 "병실은 아무래도 24시간 운영해야 하다 보니 그 비용이 어마어마하다"며 "최근에는 의원 이름을 붙이고 개원을 하면서 병상을 운영하는 곳은 한곳도 없다고 확실히 말할 수 있다. 통계에 잡히는 병상은 기존에 운영하든 곳이고 그것마저도 없애는 분위기"라고 현실을 말했다.
그럼에도 최소 병상을 운영할 수밖에 없는 개원가 현실을 무시할 수 없다는 목소리도 있다.
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 관계자는 "도심에 입원실이 있는 효과가 환자와 보호자 모두에게 크다"며 "환자 입장에서는 가족과 가깝고 외곽으로 떨어진 병원에 입원했을 때의 소외감도 작을 수 있다. 외래와 입원실도 연계돼 있어 진료받기도 편하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모든 정신과 의원이 입원실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거점지역마다 한 곳 정도라도 입원실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대학병원까지는 가지 않아도 되는 환자가 갈 곳을 만들어야 한다. 의원 입원실의 장점이 분명히 있음에도 유지할 수 없도록 만드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신경외과의사회 관계자 역시 "의원을 찾는 환자 중에서도 입원이 필요한 환자가 분명히 있다"며 "심신 안정이 필요한 환자가 있다. 의원의 입원실 운영에 대한 부분을 디테일하게 나눌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병상을 운영하는 의원이 해마다 줄고 있다. 개원 환경에서 입원실까지 갖춘 상태에서 수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메디칼타임즈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국회에 제출한 의원급 병상 운영 현황 데이터에서 2017~19년 2분기 자료를 분석했다.
결과를 보면 전체 의원 숫자는 해마다 조금씩 늘고 있지만 의원이 운영하는 병상 수는 줄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2017년 2분기 전체 의원 숫자는 3만806곳에서 올해 2분기 3만2383곳으로 1577곳 늘었다. 3년 사이 해마다 약 1000곳씩 증가했다.
반면 병상수는 2017년 2분기 7만5578곳에서 지난해 6만2134곳으로 1만3444곳 줄었다.
의원 한 곳당 병상 운영 현황을 단순 계산해보면 2017년 2분기에는 의원 한 곳당 2.5병상을 갖고 있었지만 2018년에는 2.2병상, 2019년에는 1.9병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진료과목별로 보면 의원급 병상 감소 현상은 정신건강의학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산부인과에서 두드러졌다.
정신건강의학과는 2017년 3058병상에서 지난해 2031병상으로 1027병상 줄었다. 2017년에는 의원 한 곳당 3.1병상을 운영하고 있었다면 지난해는 2.4병상, 올해는 1.7병상으로까지 떨어졌다.
전문과목 중 가장 많은 병상을 운영하고 있는 정형외과 의원 병상 수도 눈에 띄게 줄었다. 2만6722병상에서 2만937병상으로 6000병상 가까이 감소한 것. 정형외과 의원 한 곳당 13.3병상을 운영했었는데 올해는 9.7병상으로 줄어 10병상도 채 운영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 온 것이다.
신경외과도 4057병상에서 686병상이 줄어 3371병상이다. 산부인과 역시 6167병상에서 1423병상이나 감소해 4744병상이었다.
이처럼 의원에서 입원실 운영을 포기하고 있는 이유는 수익성이 크지 않다는 게 가장 크게 작용했다.
대한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 관계자는 "의원급 입원실은 외곽에 있는 게 아니라 도심에 있기 때문에 임대료, 인건비 등 비용 부담이 훨씬 크다"며 "야간에도 상주 인력이 있어야 하는 등 운영이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대한신경외과의사회 관계자도 "병상을 돌리면 돌릴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라며 "병상을 운영해도 이익은 적고 실손보험사들의 소송 타깃이 될 수 있으니 개원가에서는 단순 통증 시술 중심의 외래진료만 선택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의원은 경증질환 환자 중심의 외래진료를 중점적으로 해야 한다는 정부의 정책 방향과도 자연스럽게 맞아떨어지게 된다.
정형외과의사회 관계자는 "병실은 아무래도 24시간 운영해야 하다 보니 그 비용이 어마어마하다"며 "최근에는 의원 이름을 붙이고 개원을 하면서 병상을 운영하는 곳은 한곳도 없다고 확실히 말할 수 있다. 통계에 잡히는 병상은 기존에 운영하든 곳이고 그것마저도 없애는 분위기"라고 현실을 말했다.
그럼에도 최소 병상을 운영할 수밖에 없는 개원가 현실을 무시할 수 없다는 목소리도 있다.
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 관계자는 "도심에 입원실이 있는 효과가 환자와 보호자 모두에게 크다"며 "환자 입장에서는 가족과 가깝고 외곽으로 떨어진 병원에 입원했을 때의 소외감도 작을 수 있다. 외래와 입원실도 연계돼 있어 진료받기도 편하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모든 정신과 의원이 입원실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거점지역마다 한 곳 정도라도 입원실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대학병원까지는 가지 않아도 되는 환자가 갈 곳을 만들어야 한다. 의원 입원실의 장점이 분명히 있음에도 유지할 수 없도록 만드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신경외과의사회 관계자 역시 "의원을 찾는 환자 중에서도 입원이 필요한 환자가 분명히 있다"며 "심신 안정이 필요한 환자가 있다. 의원의 입원실 운영에 대한 부분을 디테일하게 나눌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