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골대사학회 정호연 이사장
골다공증은 뼛속에 구멍이 많이 생겨 뼈가 약해지면서 쉽게 골절이 되는 질환이다.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2014년 82만 700명이었던 골다공증 환자는 2018년 97만 2196명으로 최근 5년 새 18.4% 증가했다.
골다공증은 심각한 장애나 사망률 증가와 관련된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골절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 질환이다. 특히 겨울에는 낙상이 발생하기 쉬워 뼈 건강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독신·젊은 여성·골다공증 지식 없을수록 검사받을 확률 낮아
대한골대사학회에서 우리나라 전국 50~70대 여성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독신이며, △연령이 젊을수록, △골다공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수록 골다공증 검사를 받지 않는다고 한다.
이에 정호연 교수(대한골대사학회 이사장)는 “골다공증 질환 자체에 대한 인지도는 높아지고 있지만, 딱히 증상이 없기 때문에 내가 골다공증일 것이란 생각을 하기 쉽지 않아 검사와 치료에 관한 인식이 매우 낮은 편이다”고 설명했다.
외관상은 멀쩡하나 골절되면 심각한 장애 초래할 수 있어
골다공증은 쉽게 말해 외관상으로만 멀쩡한 부실 공사 건물과 마찬가지인 상태다. 골다공증이 심하면 길에서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심하면 기침만 해도 뼈에 금이 가고 부러질 수 있다.
주로 손목, 척추, 대퇴부의 고관절 부위에서 잘 발생하며 골다공증이 심하면 수술을 해도 뼈가 잘 붙지 않아 심각한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고관절 골절은 노인에서 잘 발생하는데, 동반된 질병이나 입원 후 발생될 수 있는 합병증, 수술적 치료에 대한 위험성 등으로 사망률이 증가할 수 있다.
폐경‧65세 이상 여성이면 증상 없어도 골다공증 검진 필요
골다공증의 주요 원인은 노화로, 나이가 많아질수록 골다공증의 발생이 늘어난다. 또한,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발생률이 훨씬 높고 특히 폐경기 후에 골다공증이 증가한다.
이에 정호연 교수는 “연구에서도 50~70대 여성 10명 중 7명은 골다공증 검진을 받은 경험이 아예 없다고 답할 정도로 골다공증 검사에 대한 인식이 낮다. 우리나라는 폐경 여성의 약 30%가 골다공증에 해당해 일찍 폐경이 된 여성이나 65세 이상인 여성은 골다공증 검사를 시행해봐야 한다. 특히 국가건강검진사업의 골다공증 검사 대상 연령이 만 54세 여성으로 확대되었으니 이를 적극 활용하면 좋다”고 당부했다.
나이 적어도 저체중‧가족력‧연계 질환 있으면 주의해야
골다공증은 반드시 폐경 이후 여성에게만 생기는 것은 아니다. 체질량지수(BMI)가 19kg/m2 미만인 저체중 상태는 폐경기 이후와 유사하게 에스트로겐 수치를 낮출 수 있어 골다공증의 위험 요인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부모가 강한 골다공증을 갖고 있거나 류마티스관절염, 전립선암 또는 유방암, 당뇨병, 만성 콩팥병, 갑상선 질환(갑상선기능항진증,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조기 폐경, 무월경, 난소 제거 등 일부 질환은 골다공증과 골절 위험 증가와 연관이 있는 이차성 골다공증의 원인이 되므로 골다공증 검사가 필요하다.
음주‧흡연‧운동하지 않고 실내에만 있어도 골다공증 주의
가족력이 없고 폐경 여성이 아닌 경우라도 생활습관이 좋지 않으면 골다공증은 조심해야 할 사항이다. 특히 음주와 흡연을 하면 주의해야 한다.
알코올은 직접 골아세포에 작용해 뼈의 생성을 억제하고 소장에서 칼슘의 흡수를 저해하며, 니코틴은 에스트로겐 분비를 감소시키고 난소 기능을 퇴화 시켜 폐경 연령을 빠르게 하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집 안에만 있으면서 햇볕을 쬐지 못하고, 신체 활동이 30분 이내로 적으면 칼슘 흡수에 필수인 비타민D를 생성하지 못하며 뼈와 근육이 손실되어 골다공증에 위험한 상태가 된다.
관심 가지면 충분히 예방 가능, 정기검진과 생활습관 개선해야
골다공증은 골절과 같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질병이지만 사전 검사를 통해 충분히 예방과 치료가 가능한 질환이다.
이에 정호연 교수는 “전혀 증상이 없어도 50세 이상 폐경 여성과 같이 골다공증 위험군에 속한다면, 정기적으로 골다공증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검사와 함께 운동과 칼슘, 비타민D 등 영양 섭취를 고르게 하면 노년기를 건강하게 보낼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당부했다.
골다공증은 심각한 장애나 사망률 증가와 관련된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골절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 질환이다. 특히 겨울에는 낙상이 발생하기 쉬워 뼈 건강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독신·젊은 여성·골다공증 지식 없을수록 검사받을 확률 낮아
대한골대사학회에서 우리나라 전국 50~70대 여성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독신이며, △연령이 젊을수록, △골다공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수록 골다공증 검사를 받지 않는다고 한다.
이에 정호연 교수(대한골대사학회 이사장)는 “골다공증 질환 자체에 대한 인지도는 높아지고 있지만, 딱히 증상이 없기 때문에 내가 골다공증일 것이란 생각을 하기 쉽지 않아 검사와 치료에 관한 인식이 매우 낮은 편이다”고 설명했다.
외관상은 멀쩡하나 골절되면 심각한 장애 초래할 수 있어
골다공증은 쉽게 말해 외관상으로만 멀쩡한 부실 공사 건물과 마찬가지인 상태다. 골다공증이 심하면 길에서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심하면 기침만 해도 뼈에 금이 가고 부러질 수 있다.
주로 손목, 척추, 대퇴부의 고관절 부위에서 잘 발생하며 골다공증이 심하면 수술을 해도 뼈가 잘 붙지 않아 심각한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고관절 골절은 노인에서 잘 발생하는데, 동반된 질병이나 입원 후 발생될 수 있는 합병증, 수술적 치료에 대한 위험성 등으로 사망률이 증가할 수 있다.
폐경‧65세 이상 여성이면 증상 없어도 골다공증 검진 필요
골다공증의 주요 원인은 노화로, 나이가 많아질수록 골다공증의 발생이 늘어난다. 또한,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발생률이 훨씬 높고 특히 폐경기 후에 골다공증이 증가한다.
이에 정호연 교수는 “연구에서도 50~70대 여성 10명 중 7명은 골다공증 검진을 받은 경험이 아예 없다고 답할 정도로 골다공증 검사에 대한 인식이 낮다. 우리나라는 폐경 여성의 약 30%가 골다공증에 해당해 일찍 폐경이 된 여성이나 65세 이상인 여성은 골다공증 검사를 시행해봐야 한다. 특히 국가건강검진사업의 골다공증 검사 대상 연령이 만 54세 여성으로 확대되었으니 이를 적극 활용하면 좋다”고 당부했다.
나이 적어도 저체중‧가족력‧연계 질환 있으면 주의해야
골다공증은 반드시 폐경 이후 여성에게만 생기는 것은 아니다. 체질량지수(BMI)가 19kg/m2 미만인 저체중 상태는 폐경기 이후와 유사하게 에스트로겐 수치를 낮출 수 있어 골다공증의 위험 요인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부모가 강한 골다공증을 갖고 있거나 류마티스관절염, 전립선암 또는 유방암, 당뇨병, 만성 콩팥병, 갑상선 질환(갑상선기능항진증,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조기 폐경, 무월경, 난소 제거 등 일부 질환은 골다공증과 골절 위험 증가와 연관이 있는 이차성 골다공증의 원인이 되므로 골다공증 검사가 필요하다.
음주‧흡연‧운동하지 않고 실내에만 있어도 골다공증 주의
가족력이 없고 폐경 여성이 아닌 경우라도 생활습관이 좋지 않으면 골다공증은 조심해야 할 사항이다. 특히 음주와 흡연을 하면 주의해야 한다.
알코올은 직접 골아세포에 작용해 뼈의 생성을 억제하고 소장에서 칼슘의 흡수를 저해하며, 니코틴은 에스트로겐 분비를 감소시키고 난소 기능을 퇴화 시켜 폐경 연령을 빠르게 하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집 안에만 있으면서 햇볕을 쬐지 못하고, 신체 활동이 30분 이내로 적으면 칼슘 흡수에 필수인 비타민D를 생성하지 못하며 뼈와 근육이 손실되어 골다공증에 위험한 상태가 된다.
관심 가지면 충분히 예방 가능, 정기검진과 생활습관 개선해야
골다공증은 골절과 같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질병이지만 사전 검사를 통해 충분히 예방과 치료가 가능한 질환이다.
이에 정호연 교수는 “전혀 증상이 없어도 50세 이상 폐경 여성과 같이 골다공증 위험군에 속한다면, 정기적으로 골다공증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검사와 함께 운동과 칼슘, 비타민D 등 영양 섭취를 고르게 하면 노년기를 건강하게 보낼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