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전문의들, 안전성 위주 처방 변경 가능성 높아
삭센다 있지만 경구용 큐시미아 대체 가능성 점쳐
오랜 기간 비만약 시장을 지배하던 일동제약의 벨빅(Belviq)이 결국 시장에서 퇴출되면서 과연 어떤 약제가 이 파이를 차지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비만 전문가들은 당분간 안전성 위주의 처방이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삭센다(Saxenda)와 큐시미아(Qsymia)가 직접적 수혜를 입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점치는 모습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암 발생 위험을 이유로 벨빅의 판매 중지 및 회수를 결정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위험성이 이점보다 크다며 자신 회수를 권고한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 판매를 맡고 있는 에자이는 즉시 자신 회수에 들어갔으며 국내 판매사인 일동제약도 회수 조치를 진행중에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벨빅은 지난 2015년 국내에 상륙한 이래 2018년까지 비만약 시장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여왔다.
실제로 2018년 벨빅의 원외 처방액은 90억 7600만원으로 비만약 시장에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하며 디에타민(Dietamin) 84억 8100만원, 휴터민(Hutermin) 78억 6000만원을 따돌렸다.
말 그대로 시장을 지배하던 대마가 급작스레 시장에서 퇴출된다는 점에서 시장이 크게 출렁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벌어진 셈이다.
이에 대해 비만 전문가들은 당분간 안전성이 비만약 처방에 이슈가 될 것으로 점치고 있다.
2010년 리덕틸(Reductil) 퇴출 사태 이후 한동안 안전성 논란이 일었던 것을 반추하며 벨빅 또한 같은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대한비만학회 임원인 A교수는 "리덕틸이 심혈관 안전성 이슈로 퇴출된 시점에도 비만약에 대한 안전성 이슈가 한동안 지속됐다"며 "벨빅 또한 그러한 분위기를 만들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내다봤다.
그렇다면 과연 비만 전문가들은 벨빅을 대체할 약물로 어떠한 선택지를 꼽고 있을까. 우선 삭센다의 돌풍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미 지난해부터 처방액이 크게 늘어나며 비만약 시장을 제패하고 있는데다 안전성 이슈도 빗겨갈 수 있는 장점을 무시할 수 없다는 전망이다.
A교수는 "그나마 GLP-1 당뇨약으로 개발된 삭센다가 일정 부분 안전성을 검증받은 만큼 혜택을 입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이미 비만 환자들에게 브랜드가 각인된데다 지금으로서는 안전성 이슈에서 벗어나 있는 거의 유일한 약물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삭센다는 이미 지난해 3분기를 기준으로 151억원의 원외 처방액을 기록하며 디에타민(93억원), 벨빅(88억원)을 제치고 비만약 시장의 재편을 이끌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가장 큰 경쟁자가 사라졌다는 점에서 더욱 처방에 가속이 붙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삭센다가 가지는 경쟁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약제의 특성이 완전히 다르다는 점에서 오히려 경구약 분야로 혜택이 돌아갈 수 있다는 예측이다.
대한비만연구의사회 임원은 "삭센다가 장기 안전성 데이터가 있기는 하지만 과거 임상을 그대로 인용한 것에 불과하다"며 "더욱이 벨빅이 경구용이었다는 점에서 주사제로 전환할 경우 순응도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이어 "오히려 신약 효과를 볼 수 있는 큐시미아가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며 "주변 의견을 들어보면 일부는 그나마 오랜 기간 처방을 해오던 펜터민(Phentermine) 계열로 돌아가는 방향을 검토중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벨빅의 퇴출이 당장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비만약 자체가 장기 복용하는 약물이 아닌데다 당장 다른 약제로 처방을 변경해야할 만큼 급한 사안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대한비만학회 임원인 B교수는 "비만이라는 것이 당장 약을 중단한다고 곧바로 문제가 생기는 질환이 아니다"며 "또한 장기 처방이 나가는 약물이 아니라는 점에서 벨빅의 퇴출이 시장에 당장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그는 "다만 워낙 처방이 많이 이뤄지던 약제라는 점에서 제약사들은 파이를 노리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하지 않겠나 싶다"며 "파이가 줄어드는 상황이 올 수는 있어도 당장 그 파이가 어느 약제로 옮겨가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비만 전문가들은 당분간 안전성 위주의 처방이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삭센다(Saxenda)와 큐시미아(Qsymia)가 직접적 수혜를 입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점치는 모습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암 발생 위험을 이유로 벨빅의 판매 중지 및 회수를 결정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위험성이 이점보다 크다며 자신 회수를 권고한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 판매를 맡고 있는 에자이는 즉시 자신 회수에 들어갔으며 국내 판매사인 일동제약도 회수 조치를 진행중에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벨빅은 지난 2015년 국내에 상륙한 이래 2018년까지 비만약 시장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여왔다.
실제로 2018년 벨빅의 원외 처방액은 90억 7600만원으로 비만약 시장에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하며 디에타민(Dietamin) 84억 8100만원, 휴터민(Hutermin) 78억 6000만원을 따돌렸다.
말 그대로 시장을 지배하던 대마가 급작스레 시장에서 퇴출된다는 점에서 시장이 크게 출렁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벌어진 셈이다.
이에 대해 비만 전문가들은 당분간 안전성이 비만약 처방에 이슈가 될 것으로 점치고 있다.
2010년 리덕틸(Reductil) 퇴출 사태 이후 한동안 안전성 논란이 일었던 것을 반추하며 벨빅 또한 같은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대한비만학회 임원인 A교수는 "리덕틸이 심혈관 안전성 이슈로 퇴출된 시점에도 비만약에 대한 안전성 이슈가 한동안 지속됐다"며 "벨빅 또한 그러한 분위기를 만들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내다봤다.
그렇다면 과연 비만 전문가들은 벨빅을 대체할 약물로 어떠한 선택지를 꼽고 있을까. 우선 삭센다의 돌풍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미 지난해부터 처방액이 크게 늘어나며 비만약 시장을 제패하고 있는데다 안전성 이슈도 빗겨갈 수 있는 장점을 무시할 수 없다는 전망이다.
A교수는 "그나마 GLP-1 당뇨약으로 개발된 삭센다가 일정 부분 안전성을 검증받은 만큼 혜택을 입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이미 비만 환자들에게 브랜드가 각인된데다 지금으로서는 안전성 이슈에서 벗어나 있는 거의 유일한 약물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삭센다는 이미 지난해 3분기를 기준으로 151억원의 원외 처방액을 기록하며 디에타민(93억원), 벨빅(88억원)을 제치고 비만약 시장의 재편을 이끌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가장 큰 경쟁자가 사라졌다는 점에서 더욱 처방에 가속이 붙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삭센다가 가지는 경쟁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약제의 특성이 완전히 다르다는 점에서 오히려 경구약 분야로 혜택이 돌아갈 수 있다는 예측이다.
대한비만연구의사회 임원은 "삭센다가 장기 안전성 데이터가 있기는 하지만 과거 임상을 그대로 인용한 것에 불과하다"며 "더욱이 벨빅이 경구용이었다는 점에서 주사제로 전환할 경우 순응도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이어 "오히려 신약 효과를 볼 수 있는 큐시미아가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며 "주변 의견을 들어보면 일부는 그나마 오랜 기간 처방을 해오던 펜터민(Phentermine) 계열로 돌아가는 방향을 검토중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벨빅의 퇴출이 당장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비만약 자체가 장기 복용하는 약물이 아닌데다 당장 다른 약제로 처방을 변경해야할 만큼 급한 사안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대한비만학회 임원인 B교수는 "비만이라는 것이 당장 약을 중단한다고 곧바로 문제가 생기는 질환이 아니다"며 "또한 장기 처방이 나가는 약물이 아니라는 점에서 벨빅의 퇴출이 시장에 당장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그는 "다만 워낙 처방이 많이 이뤄지던 약제라는 점에서 제약사들은 파이를 노리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하지 않겠나 싶다"며 "파이가 줄어드는 상황이 올 수는 있어도 당장 그 파이가 어느 약제로 옮겨가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