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좌담회]전공의 3인 초대 수련기간 변화 평가
내과 3년제는 지원률 증가로 이어져..외과는 아직
전공의 수련 패러다임 전환을 외치며 내과와 외과가 모두 수련기간을 4년에서 3년을 단축했다.
메디칼타임즈는 내과 3‧4년차가 동시에 전문의로 배출되는 시점에 맞춰 내과‧외과 수련 3년제 전환에 대한 시각을 전공의들에게 직접 들어봤다. 좌담회에는 대한전공의협의회 박지현 회장(삼성서울 외과 3년차), 서울대학교병원 박우찬 전공의(내과 4년차), 한석문 전공의(내과 3년차)가 참석했다.
이들은 3년제를 겪은 내과 전공의는 수련기간 단축이 내과지원에 실질적인 영향이 있다고 평가했지만 외과의 경우 전환 1년을 맞은 시점에서 아직까지 실질적인 효과는 체감하지 못한다고 했다.
특히, 내과학회는 2배수 전문의를 배출한 시점에서 입원전담전문의 지원 등 낙수효과를 노렸지만 막상 전공의는 펠로우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해 상당한 시각차를 보여줬다.
"내과 3년제 전환 지원에 큰 영향…이유는 다양"
내과의 3년제 전환이라는 결단은 실질적인 내과 전공의 지원율의 증가로 이어졌다. 3년제를 처음 경험한 전공의의 생각도 같을까? 답은 '그렇다'이다
한석문 전공의= 3년제가 아니어도 내과를 지원을 했을 것 같지만 훨씬 더 고민 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영상의학과 함께 많은 고민을 했지만 3년제 전환이 영향을 많이 미쳤다는 생각이다. 가령 전문의 취득 후 펠로우를 4년제 시스템에서 3년 했다고 하면 '3년이나 했어?'라는 말이 나오지만 3년제 시스템에서는 3년을 하더라도 4년제와 전체 기간은 똑같다. 1년의 기회비용이 생각보다 크다.
박지현 회장= 외과의 경우에는 이제 수련단축 2년차를 맞았지만 지원율이나 쏠림에 대한 효과는 아직 미비해 보인다. 개인적으로는 외과학회가 내과학회에 비해 3년제 전환을 길게 준비했다고 하는데 통일된 커리큘럼이나 준비가 미흡한 것 같다. (삼성서울병원이)수련을 신경 쓰는 병원인데 노력하고 있지만 지금으로서는 준비가 덜 되서 3년제로 들어온 1년차와 2년차의 커리큘럼 변화가 없다는 생각이다.
한석문 전공의= 그래도 3년제의 경우 진짜 하고 싶은 분과가 명확하면 3년제 전환이 유리하다고 생각했다. 내과도 이제 막 3년제가 전문의를 취득하고 외과도 아직 기간이 남아서 시장을 나온 게 아니라서 분과 학회에서 제도를 바꿀 수도 있다는 걱정은 있다.
하지만 3년제 전환의 효과에 대해서 비슷하게 생각하는 동기도 많고 꼭 이후 세부분과가 아니더라도 수련이 힘든데 4년보다 3년이 낫겠다고 지원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다.
박지현 회장= 3년제 목표는 제너럴한 외과의사만드는 것인데 여전히 2년차가 되서 중환자실이나 이식파트 등 병원에서 인력이 부족한 파트에 배정돼 있다. 분화를 위해 의국회의를 하면 병원시스템이 받아드리기에는 수련 시스템이 문제가 있고 정돈이 안 됐다. 제너럴한 목표를 삼았지만 현실에서 불가능하다면 외과 3년 지원은 제자리걸음을 할 수도 있다.
박우찬 전공의= 결국에는 3년제 전환이 단기적인 유인책으로 끝나지 않으려면 땜질식 문제 해결이 아닌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필요하다. 내과와 외과에 지원하는 전공의는 3년으로 끝낼게 아니고 뭔가 꿈을 가지고 오는데 전공의 입장에서 3년제 전환만으로 해결 된다고 생각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
Q. 그렇다면 지도전문의는 어떤가? 외과의 경우 책임지도전문의를 3년제 전환과 함께 핵심으로 꼽고 있는데?
박지현 회장= 제도의 취지는 좋다고 생각하는데 재미있는 말이지만 저희병원 지도전문의가 누군지도 모른다. 혹시 두분은 알고 있나.
박우찬 전공의, 한석문 전공의= 정확히 잘 모르겠다. 과장님인가?
박지현 회장= 이번에 대전협이 고육수련부에 요청한 것이 병원 지도전문의 내용을 과별로 보내주면 대전협이 정리하겠다고 공문을 보냈다. 필드에서 전공의 교육을 잘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도전문의가 확인돼야한다. 일반적으로 전공의는 지도전문의의 환자만 주치의를 볼 수 있고 회진도 한정정적이지만 이것을 아는 전공의는 거의 없다.
박우찬 전공의= 일반적으로 지도전문의라고하면 N-3, N-2 등 전공의 TO를 정할 때의 자격으로만 있다는 생각이다. 실제로 전공의에게 뭘 가르치는지는 모니터링이 안 된다.
박지현 회장= 외과도 책임지도전문의가 좋은 제도지만 병원에서 해태 같은 존재다. 누군지 모르고 어디 있는지 모르지만 전공의 TO에 관여를 하고 있다. 누구한테 배울지 모르는 것이다.
3년제 전환 내과 2배수 배출…상당수 '펠로우' 선택
내과‧외과가 3년제 전환이후 다양한 길을 제시한다고 했지만 이번에 2배수가 배출되는 내과의 경우 예상과 달리 많은 전공의가 세부분과를 선택하기 위해 고민한다는 설명이다.
박우찬 전공의= 아직 군대를 해결을 안 해서 이런 고민이나 불안감이 피부에 와 닿는 정도는 아니다. 하지만 내과 전공의가 2배수가 배출됨에 따라 취업문제 고민은 있을 수 있지만 우려했던 것보다 큰 영향은 없는 것 같다. 서울대병원의 경우 오히려 배출되는 전문의를 모두 펠로우 TO로 흡수하는 상황이다.
동기들을 봤을 때 병원의 펠로우TO가 1년 배출 전공의 수보다 넉넉히 수용할 수 있었고 전임의를 시작하는 동기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1년차 펠로우가 많아져서 오히려 업무분담의 효과도 있다는 말을 들었다. 군 전역이후 로컬에서 일하면 고민이 뒤따르겠지만 당장은 펠로우를 할 계획이라 반가운 측면도 있는 미묘한 심정이다.
한석문 전공의= 듣기로는 펠로우 T가 원래 많아서 항상 못 채웠던 것으로 안다. 소화기내과 말고 TO를 꽉 채운과가 없었는데 2배가 나오다보니 TO를 채우면서 일이 수월해진 측면이 있는 것이다. 전공의들도 예상치 못했던 부분이기도 하다.
박우찬 전공의= 병원들이 전임의가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존재인데 확보가 안되는 게 병원의 걱정인 부분인데 2배수가 배출되니 그런 수요가 있는 것 같다. 다양한 분야로 갈 것이란 예상이 있었는데 모든 병원의 사정을 알 수는 없지만 2배수 인력 배출에 따른 다툼은 없던 것 같다.
박지현 회장= 외과의 경우에도 3년제로 2배수 인력이 배출되는 시점에서 다양한 분야보다 펠로우 수요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펠로우가 자발적 노예라고 하지만 하는 이유는 더 배우고 싶은 부분이 크고 외과를 지원했다면 수술을 하고 싶다는 마음이 크기 때문에 로컬보다는 병원에 남을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이다.
한석문 전공의= 3년제의 경우 펠로우가 목적지는 아니기 때문에 만약 교수를 생각하면 3년제와 4년제가 경쟁시스템인데 3년제의 자체 경력이 낮게 인정받지 않을까 걱정은 있다. 그리고 실제로 1년 더 수련 더 받은 게 무시 할 수는 없는 부분이라 3년제의 경우 전임의를 더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