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개원가,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에 전화진료 활용 긍정적
상당수 개원의들 "코로나19 시국에 국한해야" 반대 입장 여전
코로나19 사태에 한시적으로 도입한 전화진료 허용을 두고 싸늘한 시선을 보내던 개원가에서 일부 긍정적인 평가가 새어나오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코로나19라는 특수성을 고려해 전화진료는 단발적으로 끝나야 한다는 시각이 지배적으로 온도차가 존재했다.
앞서 코로나19 확산세와 맞물려 정부가 꺼내든 카드 중 하나인 전화진료(상담 및 처방)의 한시적 처방. 당시 대형병원들의 적극 협조 분위기 속에 개원가는 대구경북지역과 다른 지역 간의 반응이 엇갈린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5일 가벼운 감기환자, 만성질환자 등은 전화 상담·처방과 대리처방, 화상진료 등 비대면 진료를 적극 활용해 의료기관 진입관리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함께 지난 6일 정부가 강도 높은 사회적거리두기를 2주간 연장한 만큼 개원가의 전화진료 수요가 많아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 상황.
실제로 대구 A가정의학과 원장은 "여전히 전화진료를 원하는 환자들이 많고 기존에 만나던 환자들이기 때문에 전화진료를 잘 이용하고 있다"며 "코로나 시국에는 유지해도 상관없다는 생각이다"고 밝혔다.
또 다른 경남 소재 B원장은 "코로나19라는 비상사태로 어쩔 수 없이 시행했지만 의료진도 환자도 제도만 조금 보완하면 좋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이전에는 원칙적으로 반대하는 입장이었는데 직접 경험해 본 뒤에는 시각이 조금이 달라진 것도 사실이다"고 전했다.
특히, 급감하고 있는 환자 수에 전화진료 요청이 들어올 경우 어쩔 수 없다는 속내도 존재했다.
서울 C원장은 "전화진료의 활용도는 둘째로 치더라도 지금 개원가는 생존의 문제와도 맞닿아 있다"며 "대면이라는 중요한 툴이 빠지긴 하지만 만성질환에 한정돼 있기도 하고 '목구멍이 포도청'인데 큰 문제가 없다면 전화진료를 받아주고 있다"고 말했다.
"전화진료는 특수한 상황 감안…이후 고려대상 아냐"
다만, 상당수 개원가들은 현재 코로나19라는 상황에서만 전제 대상일 뿐 이후는 절대로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서울 D소청과 원장은 "의원에 방문하기를 꺼려하면서 전화진료를 요청했지만 소청과는 만성질환이 잘 없기 때문에 대면진료를 할 수 있도록 권했다"며 "지금은 비상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해 적용되고 있지만 문제가 될 경우 책임소재의 문제도 있고 단발성으로 끝나야 한다고 본다"고 밝혔다.
또한 경북의사회 장유석 회장은 "전화진료는 바이러스의 전염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쓴 고육지책이지 환자 안전성과 의료 질과는 관련이 없다"며 "분명히 특수한 상황이라는 점을 생각해야하고 추후 사회적거리두기 완화된다면 의협 등 전문가단체가 정부와 정상진료에 대해 논의하고 상의해야할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여전히 코로나19라는 특수성을 고려해 전화진료는 단발적으로 끝나야 한다는 시각이 지배적으로 온도차가 존재했다.
앞서 코로나19 확산세와 맞물려 정부가 꺼내든 카드 중 하나인 전화진료(상담 및 처방)의 한시적 처방. 당시 대형병원들의 적극 협조 분위기 속에 개원가는 대구경북지역과 다른 지역 간의 반응이 엇갈린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5일 가벼운 감기환자, 만성질환자 등은 전화 상담·처방과 대리처방, 화상진료 등 비대면 진료를 적극 활용해 의료기관 진입관리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함께 지난 6일 정부가 강도 높은 사회적거리두기를 2주간 연장한 만큼 개원가의 전화진료 수요가 많아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 상황.
실제로 대구 A가정의학과 원장은 "여전히 전화진료를 원하는 환자들이 많고 기존에 만나던 환자들이기 때문에 전화진료를 잘 이용하고 있다"며 "코로나 시국에는 유지해도 상관없다는 생각이다"고 밝혔다.
또 다른 경남 소재 B원장은 "코로나19라는 비상사태로 어쩔 수 없이 시행했지만 의료진도 환자도 제도만 조금 보완하면 좋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이전에는 원칙적으로 반대하는 입장이었는데 직접 경험해 본 뒤에는 시각이 조금이 달라진 것도 사실이다"고 전했다.
특히, 급감하고 있는 환자 수에 전화진료 요청이 들어올 경우 어쩔 수 없다는 속내도 존재했다.
서울 C원장은 "전화진료의 활용도는 둘째로 치더라도 지금 개원가는 생존의 문제와도 맞닿아 있다"며 "대면이라는 중요한 툴이 빠지긴 하지만 만성질환에 한정돼 있기도 하고 '목구멍이 포도청'인데 큰 문제가 없다면 전화진료를 받아주고 있다"고 말했다.
"전화진료는 특수한 상황 감안…이후 고려대상 아냐"
다만, 상당수 개원가들은 현재 코로나19라는 상황에서만 전제 대상일 뿐 이후는 절대로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서울 D소청과 원장은 "의원에 방문하기를 꺼려하면서 전화진료를 요청했지만 소청과는 만성질환이 잘 없기 때문에 대면진료를 할 수 있도록 권했다"며 "지금은 비상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해 적용되고 있지만 문제가 될 경우 책임소재의 문제도 있고 단발성으로 끝나야 한다고 본다"고 밝혔다.
또한 경북의사회 장유석 회장은 "전화진료는 바이러스의 전염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쓴 고육지책이지 환자 안전성과 의료 질과는 관련이 없다"며 "분명히 특수한 상황이라는 점을 생각해야하고 추후 사회적거리두기 완화된다면 의협 등 전문가단체가 정부와 정상진료에 대해 논의하고 상의해야할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