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연구진, 간 이식자 1만116명 추적결과 발표
간 기증자 사망원인 파악 및 생체간이식 안전성 확인
tvN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에서 딸에게 간 이식을 해주기 위해 2주간 7kg을 감량한 아버지는 이식 수술 후 건강에 문제가 없을까.
국내 생체간이식은 1년에 인구 100만명당 20명이 받을 정도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지만 간 기증자의 수술 후 장기 생존율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서울대병원 연구진이 간 이식자 1만116명을 추적관찰한 연구 결과를 23일 공개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간을 기증해도 건강에 문제는 없다.
서울대병원 간 이식팀(서경석, 이광웅, 이남준, 최영록, 홍석균, 이정무 교수)은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신애선 교수, 최선호 전문의)과 질병관리본부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데이터를 활용해 2000년부터 2015년까지 간 기증을 한 1만116명을 추적·관찰한 연구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간 기증자의 사망원인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간 기증자와 일반 표준인구의 생존율을 비교해 간 이식 수술의 안전성을 확인했다.
전체 간 기증자 1만116명 중 사망자는 총 53명(0.52%)이었으며, 사망원인으로는 자살(19명), 암(9명), 교통사고(7명), 간 질환(5명), 뇌혈관 질환(3명), 심장 질환(1명), 기타(9명) 순으로 나타났다. 간 기증 후 간 질환으로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을 확률보다 적은 셈이다.
또한 전체 간 기증자의 수술 후 10년 누적 사망률은 0.9%로 간 기증의 안전성을 입증했다. 다만, 19명의 기증자가 자살로 사망한 점은 수술 후에도 간 기증자에 대한 꾸준한 관찰·관리가 필요하고 심리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추가로 '간 기증자'그룹과 '표준인구'그룹의 장기생존율을 비교했다.
정확한 비교를 위해 표준인구 그룹은 간 기증자 그룹과 성별·나이 비율을 맞춰 건강보험공단 데이터에서 무작위로 추출했다.
그 결과, 간 기증자 그룹의 수술 후 10년 누적 사망률은 0.5%로 표준인구 그룹의 0.9%보다 오히려 낮았다. 생체간이식 수술 후에도 간 기증자가 안전함을 입증한 것이다.
서울대병원 이남준 교수(간담췌외과)는 "우리나라에서 생체간이식이 1만1000건 넘게 진행됐지만 아직까지 간 기증자의 장기 성적에 대한 대규모 연구는 없었다"며 "수술 후에도 간 기증자를 장기적으로 관찰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정신건강 관리도 지속적으로 이뤄져야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학술지 '외과학연보(Annals of Surgery)' 최근호에 게재됐다.
국내 생체간이식은 1년에 인구 100만명당 20명이 받을 정도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지만 간 기증자의 수술 후 장기 생존율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서울대병원 연구진이 간 이식자 1만116명을 추적관찰한 연구 결과를 23일 공개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간을 기증해도 건강에 문제는 없다.
서울대병원 간 이식팀(서경석, 이광웅, 이남준, 최영록, 홍석균, 이정무 교수)은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신애선 교수, 최선호 전문의)과 질병관리본부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데이터를 활용해 2000년부터 2015년까지 간 기증을 한 1만116명을 추적·관찰한 연구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간 기증자의 사망원인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간 기증자와 일반 표준인구의 생존율을 비교해 간 이식 수술의 안전성을 확인했다.
전체 간 기증자 1만116명 중 사망자는 총 53명(0.52%)이었으며, 사망원인으로는 자살(19명), 암(9명), 교통사고(7명), 간 질환(5명), 뇌혈관 질환(3명), 심장 질환(1명), 기타(9명) 순으로 나타났다. 간 기증 후 간 질환으로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을 확률보다 적은 셈이다.
또한 전체 간 기증자의 수술 후 10년 누적 사망률은 0.9%로 간 기증의 안전성을 입증했다. 다만, 19명의 기증자가 자살로 사망한 점은 수술 후에도 간 기증자에 대한 꾸준한 관찰·관리가 필요하고 심리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추가로 '간 기증자'그룹과 '표준인구'그룹의 장기생존율을 비교했다.
정확한 비교를 위해 표준인구 그룹은 간 기증자 그룹과 성별·나이 비율을 맞춰 건강보험공단 데이터에서 무작위로 추출했다.
그 결과, 간 기증자 그룹의 수술 후 10년 누적 사망률은 0.5%로 표준인구 그룹의 0.9%보다 오히려 낮았다. 생체간이식 수술 후에도 간 기증자가 안전함을 입증한 것이다.
서울대병원 이남준 교수(간담췌외과)는 "우리나라에서 생체간이식이 1만1000건 넘게 진행됐지만 아직까지 간 기증자의 장기 성적에 대한 대규모 연구는 없었다"며 "수술 후에도 간 기증자를 장기적으로 관찰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정신건강 관리도 지속적으로 이뤄져야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학술지 '외과학연보(Annals of Surgery)'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