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 김세중 교수팀, 동물실험 대체 약물 유효성 평가 제고
국내 의료진이 생체 조직 칩을 이용해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약물 연구 모델을 개발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김세중 교수와 서울대 기계공학부 전누리 교수팀은 30일 신장 섬유화 치료 약물 연구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현 동물 실험 모델은 인간에게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제한점이 있고, 2차원 세포 실험은 생체와 다른 구조에서 자라기 때문에 인체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연구팀은 반도체 공정을 활용해 3차원 생체 조직 칩 위에 인체 장기 세포를 배양해 생리적 세포 반응 재현 뿐 아니라 해당 장기의 기능과 특성을 모방할 수 있는 약물 개발 모델을 구현했다.
생체 조직 칩 기술을 활용해 3차원으로 근위세관 세포가 모사한 세뇨관 구획과 혈관내피세포 구조를 형성한 혈관구획, 섬유아세포 구획 등을 동시 배양했다.
그 후 TGF-beta 자극으로 섬유아세포 활성을 유도했고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섬유화 치료제 역할을 하는 TGF-beta 억제제를 투여했다.
심험 결과, 혈관구조 교란으로 신생혈관 형성이 증가하고, 세뇨관 구획의 섬유화 지표가 증가했다. 섬유화 과정은 TGF-beta 억제제를 투여했을 때 막을 수 있었다.
신장내과 김세중 교수는 "논문에 제시한 모델을 통해 신섬유화 신약 후보 물질의 유효성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 및 평가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시했다"면서 "신장 뿐 아니라 다른 장기의 섬유화 모델로 확장할 수 있어 의미 있는 연구 결과"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분당서울대병원과 한국연구재단, 산업통상자원부 지원으로 수했됐으며 분자과학 국제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최신호에 게재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김세중 교수와 서울대 기계공학부 전누리 교수팀은 30일 신장 섬유화 치료 약물 연구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현 동물 실험 모델은 인간에게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제한점이 있고, 2차원 세포 실험은 생체와 다른 구조에서 자라기 때문에 인체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연구팀은 반도체 공정을 활용해 3차원 생체 조직 칩 위에 인체 장기 세포를 배양해 생리적 세포 반응 재현 뿐 아니라 해당 장기의 기능과 특성을 모방할 수 있는 약물 개발 모델을 구현했다.
생체 조직 칩 기술을 활용해 3차원으로 근위세관 세포가 모사한 세뇨관 구획과 혈관내피세포 구조를 형성한 혈관구획, 섬유아세포 구획 등을 동시 배양했다.
그 후 TGF-beta 자극으로 섬유아세포 활성을 유도했고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섬유화 치료제 역할을 하는 TGF-beta 억제제를 투여했다.
심험 결과, 혈관구조 교란으로 신생혈관 형성이 증가하고, 세뇨관 구획의 섬유화 지표가 증가했다. 섬유화 과정은 TGF-beta 억제제를 투여했을 때 막을 수 있었다.
신장내과 김세중 교수는 "논문에 제시한 모델을 통해 신섬유화 신약 후보 물질의 유효성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 및 평가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시했다"면서 "신장 뿐 아니라 다른 장기의 섬유화 모델로 확장할 수 있어 의미 있는 연구 결과"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분당서울대병원과 한국연구재단, 산업통상자원부 지원으로 수했됐으며 분자과학 국제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