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만·조재원 교수팀, 건강한 그룹 대비 공여자 사망위험 높아
2002년~2018년 1만2372명 연구 결과…유럽간학회지에 실려
삼성서울병원 장기이식센터(센터장 허우성) 이식외과 김종만, 조재원 교수 연구팀이 지난 2002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생체 간 공여자 1만 2372명을 전수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소화기 분야 최고 권위지인 유럽간학회지(Journal of Hepatology, IF 25.1)에 지난해 말 발표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생체 간 공여자의 78.5%가 20세이상 39세이하이고, 64.7%가 남자였다. 기증 후 지금까지 관찰 기간동안 89명(0.7%)의 생체 간 공여자가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반적으로 생체 간 공여자의 사망률이 1% 미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기존 연구보다 낮은 수치다.
사망원인을 분석한 결과 절반이 넘는 53.9%(48명)가 자살이나 교통사고 등 생체 간이식 수술과 관련 없는 '외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나머지 사망원인 역시 암(18명, 20.2%)이 가장 많았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건강검진을 받은 모든 일반인들중에 생체 간 공여자와 비슷한 일반인들을 여러 조건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눠 생체 간 공여자의 사망위험 및 여러 질환들의 발생을 평가했다.
A그룹은 일반인 중에서 성별, 나이, 추적 시기를 동일하게 매칭하였고, B그룹은 동반 질환이 없는 일반인 중에서 성별, 나이를 매칭해서 간 기증에 적합한 수준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는 사람으로 선정했다. C그룹은 위의 조건과 더불어 고혈압, 당뇨, 단백뇨 등 각종 질환이 전혀 없는 아주 건강한 사람들로만 따로 선택했다.
연구팀은 통계적 보정을 거쳐 연간 1000명당 사망 건수로 환산 비교했다.
그 결과 생체 간 공여자의 사망 위험은 1000인년당 0.91건으로 A, B그룹 보다 사망위험이 낮았으나 아주 건강한 사람만 모은 C그룹에 비해선 사망위험이 높았다.
이밖에도 합병증 자체가 드물긴 해도 생체 간 공여자가 간부전을 비롯해 우울증, 암, 당뇨, 고혈압, 뇌졸중, 뇌출혈, 말기신부전 등 각종 질환에 노출될 위험 역시 C그룹에 한해 더 높은 것으로 추산됐다.
연구를 주도한 김종만 교수는 "간을 비롯해 생체 장기기증은 생명을 살리는 용기 있는 결정"이라며 "기증자클리닉 통한 기증 전 철저한 기증 평가, 기증 후 지속적인 추적 관리 등 '체계적 건강 관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2021년 미국이식학회에서 선정한 '가장 많이 읽힌 10개 연구 중에 하나'로 선정됐다.
이번 연구는 소화기 분야 최고 권위지인 유럽간학회지(Journal of Hepatology, IF 25.1)에 지난해 말 발표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생체 간 공여자의 78.5%가 20세이상 39세이하이고, 64.7%가 남자였다. 기증 후 지금까지 관찰 기간동안 89명(0.7%)의 생체 간 공여자가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반적으로 생체 간 공여자의 사망률이 1% 미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기존 연구보다 낮은 수치다.
사망원인을 분석한 결과 절반이 넘는 53.9%(48명)가 자살이나 교통사고 등 생체 간이식 수술과 관련 없는 '외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나머지 사망원인 역시 암(18명, 20.2%)이 가장 많았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건강검진을 받은 모든 일반인들중에 생체 간 공여자와 비슷한 일반인들을 여러 조건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눠 생체 간 공여자의 사망위험 및 여러 질환들의 발생을 평가했다.
A그룹은 일반인 중에서 성별, 나이, 추적 시기를 동일하게 매칭하였고, B그룹은 동반 질환이 없는 일반인 중에서 성별, 나이를 매칭해서 간 기증에 적합한 수준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는 사람으로 선정했다. C그룹은 위의 조건과 더불어 고혈압, 당뇨, 단백뇨 등 각종 질환이 전혀 없는 아주 건강한 사람들로만 따로 선택했다.
연구팀은 통계적 보정을 거쳐 연간 1000명당 사망 건수로 환산 비교했다.
그 결과 생체 간 공여자의 사망 위험은 1000인년당 0.91건으로 A, B그룹 보다 사망위험이 낮았으나 아주 건강한 사람만 모은 C그룹에 비해선 사망위험이 높았다.
이밖에도 합병증 자체가 드물긴 해도 생체 간 공여자가 간부전을 비롯해 우울증, 암, 당뇨, 고혈압, 뇌졸중, 뇌출혈, 말기신부전 등 각종 질환에 노출될 위험 역시 C그룹에 한해 더 높은 것으로 추산됐다.
연구를 주도한 김종만 교수는 "간을 비롯해 생체 장기기증은 생명을 살리는 용기 있는 결정"이라며 "기증자클리닉 통한 기증 전 철저한 기증 평가, 기증 후 지속적인 추적 관리 등 '체계적 건강 관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2021년 미국이식학회에서 선정한 '가장 많이 읽힌 10개 연구 중에 하나'로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