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바이오 커지는 R&D 기회…5년 간 2배 증가

발행날짜: 2023-03-23 11:30:00 수정: 2023-03-23 12:00:59
  • 글로벌 제약바이오 투자 흐름 유럽기업 약화
    한국 본사 둔 기업 R&D거래 5년 새 2배 증가

코로나 대유행이 엔데믹으로 전환되면서 제약바이오 펀딩이 둔화되고 있지만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형 제약사의 연구개발(R&D) 지출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바이오제약 펀딩이 중국과 유럽에서 줄어드는 현상을 보였다.

최근 5년간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기술 이전 건수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아이큐비아는 23일 '전 세계 R&D 트렌드'를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분석했다.

코로나 대유행 기간 중 바이오제약 투자 흐름과 기술이전과 같은 거래(Deal) 활동이 강화됐지만 엔데믹으로 전환되면서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귀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국 기업에 대한 벤처캐피털의 투자는 2022년에 전년대비 39% 감소했지만 코로나 이전인 2019년보다는 25%가량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구체적으로 미국 벤처캐피탈의 거래 활동과 투자흐름은 2022년 421억 달러를 기록하며 2021년 548억 달러보다 감소했지만 2019년 273억 달러보다 높았다.

반면, 유럽 기업에 대한 투자는 2022년 74%의 감소했으면, 2019년과 비교해도 47%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최근 5년간 한국과 중국에 본사를 둔 기업의 거래 건수가 늘어났다(아이큐비아 보고서 일부 발췌)

이는 중국에서도 마찬가지였는데 중국에 본사를 둔 회사들은 2020년과 2021년 거래 점유율과 절대 가치가 급증 한 후 2022년에는 59% 감소하며 2019년보다 11%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또 2017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R&D 거래 흐름과 관련에 눈여겨볼 점은 중국과 한국 기업의 부상이다.

지난 5년간 거래 활동은 여전히 북미 기업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중국과 한국에 본사를 둔 기업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같은 기간 유럽에 본사를 둔 기업은 감소추세를 기록했다.

한국기업의 경우 2017년 251건에 머물렀던 거래 규모가 2022년 490건으로 증가하면서 중국의 거래 건수를 초과했으며, 생물학적 및 바이오마커 역량과 바이오시밀러를 포함한 제조역량을 기반으로 한 라이선싱 및 협력 R&D의 비중이 높았다.

글로벌 대형제약사들은 매출 증가에 발맞춰 R&D 지출을 늘리는 모습을 보였다(아이큐비아 보고서 일부 발췌)

이러한 R&D 거래 변화는 글로벌 제약사의 R&D 지출 흐름과도 무관하지 않다. 글로벌 15대 제약사의 R&D 지출을 살펴보면 2022년 1380억 달러를 투자하면서 2017년 대비 43%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이는 전체 매출의 18.8%에 해당하는 비중이다.

R&D 거래와 관련해 전통적인 제약사 간 거래 건수는 2021년부터 2022녀까지 25% 감소했으며, 대기업과 신흥 바이오제약사가 포함된 거래 비율이 증가했다.

즉, 대형제약사의 R&D 거래 투자가 신약 후보물질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 신흥바이오제약사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아이큐비아는 "신흥바이오제약사는 지난 5년간 꾸준히 거래 참여를 확대해왔고 2017년과 비교해 2022년 84% 증가하는 수치를 보였다"며 "신흥바이오제약사의 독립성이 높아지면서 거래 증가와 함께 실제 신약 출시의 빈도도 높아지고 있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