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지원인력 개선 협의체 공동위원장 향후 방향성 제시
최소 6개월 협의 추진 예정…다양한 직역 참여 업무범위 설정
"진료지원인력(PA간호사) 논의는 과일나무로 치면 열매가 무르익어서 조심스럽게 따면 되는 단계다."
보건복지부가 추진 중인 진료지원인력 개선 협의체 오태윤 공동위원장(흉부외과·전 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이사장)의 말이다. 그는 PA간호사 관련한 논의가 수차례 거쳐오면서 논의가 무르익었다고 판단, 이번에는 성과물을 내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복지부는 수년 째 의료계 뜨거운 감자인 PA(Physician Assistant, PA)간호사 업무범위 설정부터 제도개선을 목표로 다양한 직역이 참여한 협의체를 구성했다. 정부에선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이 당연직으로 참여하고 의료계에선 오태윤 위원장이 총대를 멨다.
오 위원장은 지난 2017년~2019년까지 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이사장으로 흉부외과 전문의 열악한 근무환경부터 정책개선책을 정부에 강하게 요구했던 인물.
특히 흉부외과는 20년전부터 저조한 전공의 지원율로 암암리에 PA간호사 인력이 상당부분 들어와 있는 실정. 누구보다 PA간호사 실상을 잘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위원장 역할을 맡게됐다.
실제로 흉부외과학회는 앞서 PA간호사 관련 실태조사를 진행, 제도화 방안을 모색한 바 있다.
오 위원장은 "당시 외과계 전공의들은 PA간호사 제도에 대해 거부감 보다는 수련에 집중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답변도 예상 밖으로 많았다"면서 "이번 협의체 논의 과정에서 전공의들의 의견도 적극 수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고려의대 윤석준 교수는 최근 열린 2차 회의에서 진료지원인력 연구용역 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추가적인 협의가 필요한 부분은 과제로 남겨놨다. 협의체에선 쟁점이 되는 PA간호사의 업무범위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 위원장은 "미국, 캐나다, 영국처럼 PA를 응급구조사처럼 새로운 직업을 하나 만드는 식은 아직 이르다고 본다"면서 "의료법 테두리 내에서 운영 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협의체의 가장 큰 과제는 의료계 내부에서도 찬반으로 갈리는 쟁점인데 어떻게 결론을 도출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하지만 오 위원장은 순리대로 풀어나갈 생각이다.
그는 "협의체에 의협, 병협은 물론 의학회, 대전협까지 다양하게 참여하고 있어 찬반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듣는 자리를 마련할 것"이라며 "의료행위가 다양한 만큼 각 학회별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라고 했다.
수년 째 찬반이 거세지만 최근 의대 정원 확대 이슈와 맞물리면서 오히려 매듭을 풀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봤다. 모든 의료행위를 의사만 할 수 있도록 하려면 의사 수 확대가 불가피한 상황. 의사 수 확대에 대한 의료계 반대가 거센 만큼 PA간호사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고도 봤다.
하지만 오 위원장은 물론 만만찮은 과정이라고 했다. 그는 협의체를 통해서 업무범위 설정 등 제도를 마련할 수 있지만 정부기관을 주축으로 시범사업 형태로 검토하면서 도입하는 방안도 있다고 길을 열어 두기도 했다.
그는 협의체도 최소 6개월 이상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뜨거운 쟁점인 만큼 충분한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현재 8회까지 일정이 잡혀 있는 상태다.
그는 "업무범위도 중요하지만 책임소재, 관리 운영 주체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면서 "한국형 모델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해당 현안은 장기간 해결되지 않고 끌어온 숙원 과제로 이제는 환자 안전, 의료질 향상, 의사 팀장, 명확한 책임 소재 확립 등 4대 원칙을 세웠다"면서 "견해차를 보여왔던 직역과 단체가 열린 마음으로 진료지원인력 시스템을 구축하는 첫 발걸음을 뗐다"고 의미를 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