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하종원 교수, 환자 236명 대상 조사결과
저렴한 가격 등의 이유로 국내인의 중국에서의 장기 이식이 늘어나는 가운데 이식자 상당수가 심각 합병증을 앓는 등 문제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대 하종원 교수는 최근 열린 제34차 대한이식학회 정기 학술대회에서 최근 우리나라의 장기이식 현황(중국에서 신장, 간 등 장기이식을 받고 온 환자의 증가로 인한 문제점과 대책 등)에 대해 발표했다.
중국에서 장기이식을 받은 환자 236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조사대상자 중 사망이 8명, 합병증(감염, 수술 합병증) 76명(32%), 거부반응이 있는 환자가 14.4%였다.
합병증 중에는 감염(C형간염, 말라리아 등)이 19%로 가장 많으며, 수술합병증(담도가 새고, 소변이 새는 등) 발생사례가 나타났다.
하 교수는 "조사대상자는 중국에서 이식을 받고 온 사례 중 비교적 성공적인 사례일 것으로 추정되기에 실제로는 중국에서의 장기이식에 따른 문제점이 더 심각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같은 부작용이 극심한 이유는 중국 장기 공여자의 상당수가 사형수인데다가 신원미상인 사람도 적지 않아 충분한 검사가 이뤄지지 않았고 의료 수준도 우리나라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하 교수는 "중국까지 가서 수술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장기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 사회와 의료계 등의 공동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서울대 하종원 교수는 최근 열린 제34차 대한이식학회 정기 학술대회에서 최근 우리나라의 장기이식 현황(중국에서 신장, 간 등 장기이식을 받고 온 환자의 증가로 인한 문제점과 대책 등)에 대해 발표했다.
중국에서 장기이식을 받은 환자 236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조사대상자 중 사망이 8명, 합병증(감염, 수술 합병증) 76명(32%), 거부반응이 있는 환자가 14.4%였다.
합병증 중에는 감염(C형간염, 말라리아 등)이 19%로 가장 많으며, 수술합병증(담도가 새고, 소변이 새는 등) 발생사례가 나타났다.
하 교수는 "조사대상자는 중국에서 이식을 받고 온 사례 중 비교적 성공적인 사례일 것으로 추정되기에 실제로는 중국에서의 장기이식에 따른 문제점이 더 심각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같은 부작용이 극심한 이유는 중국 장기 공여자의 상당수가 사형수인데다가 신원미상인 사람도 적지 않아 충분한 검사가 이뤄지지 않았고 의료 수준도 우리나라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하 교수는 "중국까지 가서 수술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장기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 사회와 의료계 등의 공동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