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지방개원 러시… 대도시 개원 기피

주경준
발행날짜: 2005-02-25 13:05:52
  • 수도권집중율 및 서울·광역시지역개원율 2%씩 감소

분업이후 매년 100여곳씩 순증하던 병원의 개원흐름이 대도시지역의 병원경쟁이 극심해지면서 지방 개원시대으로 전환됐다.

심사평가원의 시도별 병원증감 현황에 따르면 서울·6개 광역시지역 병원 개원율이 44%에서 04년 42%로 분업이후 처음 감소해, 병원 지방 개원율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신도시·택지지구 등으로 경기지역에 병원수가 크게 증가함에도 불구 서울·경기·인천의 수도권집중율도 36%에서 34%로 떨어져 병원의 지방개원율의 증가현상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요양기관 기호코드 부여기준으로 병원은 총 970곳(04년말)으로 서울이 126곳으로 03년 대비 18곳이 늘고 14곳이 줄어 4곳이 순증한 것을 비롯 대도시 지역의 순증병원은 10곳을 넘지 못했으나 도지역의 경우 경기 18곳, 경북 15곳, 전북 12곳 등 지방이 순증 병원수에서 앞섰다.

서울기준으로 02년 7곳, 03년 11곳이 증가하는 등 01년부터 03년까지 지방과 대도시지역의 증가율이 지속적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던 상황과 뚜렷한 차이점을 나타낸다.

이같은 현상은 종합병원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다. 서울, 부산, 인천의 종합병원이 각각 1곳씩 감소하고 광주에서 단 1곳 증가 전체적으로 대도시지역의 종합병원은 2곳이 줄었다. 반면 지방은 감소지역없이 충북과 전남에서 1곳씩 늘어 병원의 지방개원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이같은 현상에 대해 심평원과 컨설팅 업계는 그간 높은 병원증가율로 대도시지역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노인병원 등 특화 아이템을 통해 지방 개원으로 탈출를 모색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그러나 이같은 지방 탈출 러시현상은 지방중소병원의 경영불황 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진행되고 있으며 도산율이 높은 현상황에서 비춰 불안감을 더하고 있다.

실제 병원협회는 지난해 병원급의 경우 84곳이 도산했다고 집계한바 있으며 심평원의 요양기관 기호부여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208곳이 증가하고 109곳이 감소, 병원의 30%정도가 개원·이전·폐업 또는 개설자 변경 등의 경영변화요인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컨설팅업게의 한 관계자는 “병원 개원은 의원을 경영하는 개원의들의 상당수가 갖고 있는 목표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경쟁이 덜한 지방을 선택하게되는 경우가 많다” 며 “경영상태가 좋기때문에 병원 증가율이 높다는식의 해석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고 밝혔다.

또 "이는 반대로 보면 개원후 안정적운영이 어려운 사례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 만큼 철저한 준비와 특화전략 등을 통해 병원개원을 추진해 실패의 확률을 낮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학술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