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철 교수팀, 장기요양 서비스 관련 연구 결과 밝혀
시설서비스를 원하는 노인 중 의사가 상주하는 병원으로 가고 싶은 사람이 64.7%로 일반적인 시설보다는 병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김현철 교수팀은 최근 발간된 보건행정학회지에서 ‘장기요양 서비스를 누가, 얼마나, 얼마에 원하고 있는가’라는 주제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김 교수팀에 따르면 거동이 불편한 상태를 가정하고 조사한 결과에서는 의사가 상주하는 병원을 희망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76.1%, 치매를 가정하고 조사한 결과는 80.5%까지 높아져 현재 노인 및 노인 가족은 단순한 요양 시설 보다는 요양 병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결과 드러났다.
재가서비스 희망자 중 64.2%는 방문 간호서비스를 원하고 있었고 이외 간병 및 수발서비스, 방문 목욕 서비스, 방문 재활 서비스의 욕구가 약 50%에 달해 역시 의료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보호 대상자는 의료보험 대상자에 비해 장기요양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3.356배 많은 것으로 보아 의료보호 대상자들이 일정 수준의 경제적 부담을 감수하고서라도 장기요양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고 해석했다.
비용에 대해서는 의료보험 가입자의 경우 지불의사금액이 재가서비스 월 약6만7400원, 시설 서비스 월 18만 2500원 수준이므로 실제 수발비용은 재가 및 시설 서비스 각각 33만 7천원, 91만2500원 수준까지 감당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김 교수팀은 “공적 노인요양보험이 의료보호 대상자에 대한 서비스를 충분히 보장하지 않는다면 이들은 욕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접근이 매우 어려워지게 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현재 준비 중인 공적 노인요양보장 제도가 생활수급대상자를 무료로 제공하는 것은 이들에 대한 서비스 접근도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김현철 교수팀은 최근 발간된 보건행정학회지에서 ‘장기요양 서비스를 누가, 얼마나, 얼마에 원하고 있는가’라는 주제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김 교수팀에 따르면 거동이 불편한 상태를 가정하고 조사한 결과에서는 의사가 상주하는 병원을 희망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76.1%, 치매를 가정하고 조사한 결과는 80.5%까지 높아져 현재 노인 및 노인 가족은 단순한 요양 시설 보다는 요양 병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결과 드러났다.
재가서비스 희망자 중 64.2%는 방문 간호서비스를 원하고 있었고 이외 간병 및 수발서비스, 방문 목욕 서비스, 방문 재활 서비스의 욕구가 약 50%에 달해 역시 의료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보호 대상자는 의료보험 대상자에 비해 장기요양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3.356배 많은 것으로 보아 의료보호 대상자들이 일정 수준의 경제적 부담을 감수하고서라도 장기요양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고 해석했다.
비용에 대해서는 의료보험 가입자의 경우 지불의사금액이 재가서비스 월 약6만7400원, 시설 서비스 월 18만 2500원 수준이므로 실제 수발비용은 재가 및 시설 서비스 각각 33만 7천원, 91만2500원 수준까지 감당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김 교수팀은 “공적 노인요양보험이 의료보호 대상자에 대한 서비스를 충분히 보장하지 않는다면 이들은 욕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접근이 매우 어려워지게 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현재 준비 중인 공적 노인요양보장 제도가 생활수급대상자를 무료로 제공하는 것은 이들에 대한 서비스 접근도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적절하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