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가 및 인력확대 '낙관론'-책임소지와 업무과중 '우려론'
시공간을 초월한 의료정보화 산물의 핵심인 원격판독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인가. 원격판독 시행시 수가와 책임을 놓고 병원과 개발기업 그리고 판독대리 업체 등의 삼각구도도 예상돼 향후 기대와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22일 대한영상의학회(회장 최병인)에 따르면, 의료기관 정보화가 포화상태에 임박해 있어 조만간 어느곳에서나 X-ray나 CT 등의 영상 필름을 전송 판독할 수 있는 안정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올해 초 심평원이 발표한 의료정보화(05년 현재) 현황은 대학병원이 95%를 넘어선 반면 병원급은 40%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점차 OCS·PACS 확대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같은 의료정보화에도 불구하고 원격판독이 진행되고 있지 못한 이유는 병원마다 상이한 개발업체의 소프트웨어로 인해 상호호환이 어려워, 환자가 한 병원에서 다른 병원에서 옮길 때마다 필름을 CD에 복사해야 하는 불편함과 경제적 부담감이 있다는 분석이다.
서울대병원의 경우, 올해부터 필름 보관부서를 로비에 설치 운영하며 해당 진료과의 정확한 진단과 환자의 대기시간 단축을 유도하고 있으나 진단방사선과의 업무폭주로 당장 스탭수를 늘려야하는 어려움에 봉착한 상태.
영상의학회는 정부가 추진중인 EHR(전자건강기록)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원격판독에 대한 세부규정 마련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댜.
이와 관련 한준구 정보통신이사(서울의대)는 “원격판독은 정도관리 측면에서 방사선과 의사를 위한 수가책정과 더불어 책임감을 부여해야 한다”며 “종합병원급에서 1~2명의 적은 의사로 이러한 일을 외부업체에 맡겼을 때 판독에 문제 발생시 누가 배상을 할 것인지도 곰곰이 고민해볼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한 이사는 이어 “이미 선진국에서는 원격진료를 실시하면서 환자치료의 질을 높여주고 있다”고 말하고 “아직 속단하기는 이르나 원격진료가 본격화될 경우, 이를 처리할 수 있는 방사선과 의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며 원격진료에 대한 낙관론을 제시했다.
한 해 동안 보건소와 병원급에서 촬영한 X-ray 필름의 30%가 외래 진료과에서 사용하고 폐기·보관하는 소모품으로 사용되고 있어 원격판독의 정체성이 진단방사선과 전문성 확보에 어떻게 작용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영상의학회는 오는 24일(토) 오후 4시 서울대병원 암연구소에서 △원격판독과 건강보험 및 법규(복지부 보험급여팀 박인석) △원격판독의 국외 현황(아이라드의원 심정석) △원격판독의 국내 현황(XRay21 윤여동) 등 원격판독 관련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22일 대한영상의학회(회장 최병인)에 따르면, 의료기관 정보화가 포화상태에 임박해 있어 조만간 어느곳에서나 X-ray나 CT 등의 영상 필름을 전송 판독할 수 있는 안정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올해 초 심평원이 발표한 의료정보화(05년 현재) 현황은 대학병원이 95%를 넘어선 반면 병원급은 40%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점차 OCS·PACS 확대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같은 의료정보화에도 불구하고 원격판독이 진행되고 있지 못한 이유는 병원마다 상이한 개발업체의 소프트웨어로 인해 상호호환이 어려워, 환자가 한 병원에서 다른 병원에서 옮길 때마다 필름을 CD에 복사해야 하는 불편함과 경제적 부담감이 있다는 분석이다.
서울대병원의 경우, 올해부터 필름 보관부서를 로비에 설치 운영하며 해당 진료과의 정확한 진단과 환자의 대기시간 단축을 유도하고 있으나 진단방사선과의 업무폭주로 당장 스탭수를 늘려야하는 어려움에 봉착한 상태.
영상의학회는 정부가 추진중인 EHR(전자건강기록)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원격판독에 대한 세부규정 마련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댜.
이와 관련 한준구 정보통신이사(서울의대)는 “원격판독은 정도관리 측면에서 방사선과 의사를 위한 수가책정과 더불어 책임감을 부여해야 한다”며 “종합병원급에서 1~2명의 적은 의사로 이러한 일을 외부업체에 맡겼을 때 판독에 문제 발생시 누가 배상을 할 것인지도 곰곰이 고민해볼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한 이사는 이어 “이미 선진국에서는 원격진료를 실시하면서 환자치료의 질을 높여주고 있다”고 말하고 “아직 속단하기는 이르나 원격진료가 본격화될 경우, 이를 처리할 수 있는 방사선과 의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며 원격진료에 대한 낙관론을 제시했다.
한 해 동안 보건소와 병원급에서 촬영한 X-ray 필름의 30%가 외래 진료과에서 사용하고 폐기·보관하는 소모품으로 사용되고 있어 원격판독의 정체성이 진단방사선과 전문성 확보에 어떻게 작용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영상의학회는 오는 24일(토) 오후 4시 서울대병원 암연구소에서 △원격판독과 건강보험 및 법규(복지부 보험급여팀 박인석) △원격판독의 국외 현황(아이라드의원 심정석) △원격판독의 국내 현황(XRay21 윤여동) 등 원격판독 관련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