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주치의 있어도 '정치의'는 없다"

이창진
발행날짜: 2007-07-09 11:33:09
  • 의사출신 국회의원 4명 불과...정·재계 진료역할 국한

성분명 처방 등 일련의 의료정책에 대한 의료계의 우려와 불안감이 증폭되는 가운데 이를 대응할 수 있는 정치력 제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주요 대학병원 교수진 중 청와대와 국회 등 정치권을 비롯하여 재계와 사회 리더급과 친분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은 상당수에 달하고 있는 상태이다.

하지만 정치와 경제, 사회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의사군은 소수에 머물고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299명의 국회의원 중 의사출신 의원은 신상진(한, 과기위), 안명옥(한, 복지위), 안홍준(한, 환노위), 정의화(한, 재경위) 등 4명(약 1.3%)에 불과한 상태이다.

이외에 약사로는 김선미(우, 건교위), 문희(한, 복지위), 장복심(우, 복지위) 등 3명이며 치과의사는 김춘진(우, 복지위) 1명에 머물고 있다.

의사들이 사회 지도층과 인연을 갖는 계기는 학연과 지연 등도 있으나 결국 전담 의사인 주치의로서 진료적 기능에 국한되어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정치권과 근거리에 위치하거나 참여중인 의사로는 대통령 주치의인 서울대병원 송인성 교수(내과)와 청와대 사회정책수석 김용익 교수(서울의대 의료관리학), 심사평가원장 김창엽 교수(서울대 보건대학원) 등이다.

이와 달리 경제를 움직이는 대기업 총수의 주치의로는 현대의 경우 서울아산병원에서, 삼성계열은 삼성서울병원, 롯데는 서울대병원 등에서 전담하며 재계와의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렇다보니 학술대회 등 다양한 행사의 지원은 지속되고 있으나 의료법 개정과 성분명처방, 가감지급제, 정률제 등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일련의 의료정책에 대한 대응법은 의료계 내부의 목소리에 국한될 수밖에 없다는 것.

이와 관련 국립의료원 한 진료과장은 “의사에게는 의료정책 대부분이 위반시 고발조치와 면허정지 등의 심한 처벌을 전제로 하고 있어 운신의 폭이 좁아질 수밖에 없다”고 전제하고 “국회와 청와대 등에서 의사의 입장을 반영할 수 있는 정치력을 지닌 의사군이 몇이나 되는지 곰곰이 생각해봐야 한다”며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는 의료계의 정치력을 개탄했다.

연말 대선과 내년 총선 등 정치권의 분수령을 이룰 굵직한 일정을 앞둔 상태에서 의료계가 국민적 신뢰와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희생·봉사의 히포크라테스 정신과 더불어 현장 정치에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정치인 양성도 절실하다는게 의료계의 중론이다.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