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 '다빈치' 코드화..분당서울대 가세

안창욱
발행날짜: 2007-09-06 12:21:33
  • 내달부터 수술용 로봇 가동, 경북대병원도 11월 첫선

[메디칼타임즈=]
사진은 세브란스병원의 로봇수술 장면.
분당서울대병원이 국립대병원으로서는 처음으로 내달부터 수술용 로봇인 ‘다빈치-S’를 도입해 시술에 적용한다.

경북대병원도 11월말 로봇수술에 들어갈 예정이어서 연세의료원에서 시작된 ‘다빈치’ 열풍이 다른 대형병원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6일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병원은 현재 수술용 로봇인 ‘다빈치-S' 도입 계약을 매듭짓고, 10월부터 설치 가동에 들어간다.

이를 위해 이달말 비뇨기과를 시작으로 외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의료진들이 미국에서 로봇수술을 위한 연수를 떠날 예정이다.

분당서울대병원 관계자는 “10월말 정식 오픈과 동시에 로봇수술에 들어갈 계획”이라면서 “시술 초기에는 비뇨기과 전립선암에 적용한 후 외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등으로 수술 영역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전립선암 수술을 할 때 가장 큰 제약은 시야 확보가 어렵다는 것”이라면서 “그러나 로봇수술을 할 경우 이런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최소침습수술이 가능해 환자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5일부터 환자 안내용 로봇인 스누봇(SNUBHOT)도 국내 병원 가운데 처음으로 도입한 바 있어 수술용 로봇 도입으로 최첨단 디지털병원의 이미지를 더욱 확고히 할 것으로 보인다.

분당서울대병원과 함께 경북대병원도 11월말 ‘다빈치-S’를 도입하기로 하고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경북대병원 관계자는 “이미 복강경센터에 국내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연수를 오는 등 제반 여건을 갖추고 있어 로봇수술을 하는데 어려움은 없다”면서 “빠르면 11월부터 로봇수술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에서 수술용 로봇인 ‘다빈치’를 도입한 의료기관은 세브란스병원, 영동세브란스병원, 고대 안암병원, 서울아산병원 등이며, 분당서울대병원과 경북대병원 외에도 다수 대학병원들이 로봇수술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상태다.

병·의원 기사

댓글 5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ㅁㄴㅇㄼㅈㄷ 2007.09.07 03:12:45

    약대 4년과 의사 15년이 의미하는것은?
    약대는 본질적으로 환자를 만나본적이 없는 대학이다.
    이에 반해서 의사는 예과 2년에 본과 4년 인턴레지던트 5년을 배우고 군대도 3년 군의관복무를 한다. 군대기간에도 환자치료에 열중한다.
    그렇다면 약대는 환자치료경험이 있느냐는 것이다. 전혀없다. 약대교수가 진료하는 것 보았는가? 의약분업이니 성분명이니 다 개뼉다귀 소리다. 대체처방을 하면 징벌을 가해도 모자랄판에 약대출신들이 운집한 복지부에서는 대체조제하자고 난리다.
    국민들이 어떻게 생각하겠는가? 공자님 말씀 가라사대 세상에서 제일중요한 것중의 하나가 신용이라고 했다.
    이는 신용경제를 송두리째 망가뜨리는 행위이다.
    1.진찰료인상으로 국민들은 꼭지가 돌고 있다. 정부에서 할짓이 없어서 진찰료를 인상하는가? 약국에서 돈벌려고 진찰료 인상하는 것 다알고 있다.
    2.성분명이고 뭐고 국민들은 의약분업 폐기를 원하고 있다.
    3.해부실습도 없고 임상실습도 없고 인턴레지던트 환자치료도 안해본사람이 뭘 알아서 성분명운운하는가? 하늘을 향해서 부끄러운줄 알아야 한다.
    4.약대과정은 해부실습이 없다. 생리실습,생화학실습,조직학실습,병리실습,약리실습,기타 내과실습을 비롯한 임상실습이 없다.
    5.인턴1년 레지던트 4년 환자치료과정이 없다. 약국 50년은 무면허의료행위 50년의 역사이다.
    6.상품명속에는 성분명을 공개하게끔되어있다. 성분명공개의 의무가 있는 것이다. 상품명을 적으면 약전이라고 해서 약껍데기를 보면된다. 물론 다 부작용에 관한 얘기이다.
    그리고 10만의사분들은 의약분업도 마찬가지고 성분명도 마찬가지다. 이는 영토주권과 생존권에 관한 주권침해이다. 국민들을 위해서 의약분업폐기성분명폐기정율제폐기를 한다

  • ㅁㅇㄴㄻㅈ 2007.09.06 19:28:55

    약품제조 배우는 약대교과과정
    <<서울대학 약대 교육과정입니다>>
    1
    370.202* 약학개론 2 2
    2 370.212 扇戮캣건?및 실습 2 2(2)
    371.208* 물리약학 1 3 3
    371.214 약학사 2 2
    371.216 약학컴퓨터개론 2 2
    375.201* 약화학 1 2 3
    375.203* 약화학실험 1 (4)
    375.205* 약품분석학 1 2 3
    375.207* 약품분석학실험 1 (4)
    375.213 본초학 및 실습 2 1(2)
    375.218 기능성식품학 2 2
    801.002* 해부학 2 3
    371.209* 물리약학 2 2 3
    371.210* 물리약학실험 1 (4)
    371.212A 나노약물전달체개론 2 2
    371.215 생명약학 2 2
    375.202* 약화학 2 3 3
    375.206* 약품분석학 2 3 3
    375.214 천연물화학 및 실습 2 1(2)
    375.217 약용식물배양법 2 2
    375.220 약품방사성화학 2 2
    801.001* 생리학 3 3


    3 370.301* 생화학 1 2 3
    370.303* 생화학실험 1 (4)
    370.304 종양학 2 2
    371.310 기기분석 3 3
    371.322 유기의약품합성화학1 2 2
    375.301* 생약학 1 2 3
    375.309* 약학미생물학 1 3 3
    375.318* 의약품합성화학 1 3 3
    375.321* 생약학실험 1 (4)
    375.322A* 위생약학 1 3 3
    370.302* 생화학 2 3 3
    371.217 해양천연물약품학 및 실습 2 1(2)
    371.313 환경위생학 2 2
    371.323 유기약품합성화학 2 2 2
    375.221 약학세포유전학 3 3
    375.302* 생약학 2 3 3
    375.310* 약학미생물학 2 2 3
    375.311* 약학미생물학실험 1 (4)
    375.313 약품시험법 2 2
    375.316 식품위생학 2 2
    375.317 법약학 2 2
    375.319* 의약품합성화학 2 2 3
    375.320* 의약품합성화학실험 1 (4)
    375.323A* 위생약학 2 2 3
    375.324A* 위생약학실험 1 (4)


    4 371.408 제약공장관리 2 2
    371.412 제제시험법 2 2
    371.413 향장품화학 2 2
    375.401* 약물학 1 2 3
    375.405* 약제학 1 2 3
    375.407* 약제학실험 1 (4)
    375.409* 병원약국학 1 2
    375.413 내분비화학 2 2
    375.417 약국관리학 2 2
    375.418 항생물질학 2 2
    375.420 생물학적시험법 2 2
    375.424* 약물학실험 1 (4)
    375.425* 임상약학및실습1 3 2(3)
    375.427 의약분자생물학 2 2
    801.003* 병리학 3 3
    371.409 생물학적제제 2 2
    371.410 의약품정보과학 2 2
    371.414 농약학 2 2
    371.415 식품공학개론 2 2
    375.402* 약물학 2 3 3
    375.406* 약제학 2 3 3
    375.410* 병원약국학실습 1 (8)
    375.411* 약사위생법규 1 2
    375.412 약전개론 2 2
    375.414 신약학 2 2
    375.419 조제학 2 2
    375.422 독성학 2 2
    375.426* 임상약학및실습2 3 2



  • 병원찾기 2007.09.06 17:20:05

    병원자리 찾기 어려워!!
    개원입지 및 부동산 투자 박람회에 약사 선생님들을 초대 합니다.


    행사 개요

    � 주 최: ㈜개원정보114
    � 주 관: ㈜상가114
    � 운 영: ㈜동인전람
    � 협 찬: 한국씨티은행, LBA부동산 경제연구소
    � 후 원: ㈜메디포뉴스
    � 인 원: 2000명 (강의참석:1000명 부스참관:1000명)
    � 대 상: 개원예정의(치과,한의사포함), 개원의 ,약사포함 의료인
    � 장 소: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강의장(오디토리옴)
    � 일 시: 2007년 11월 18일(10:00-18:00)
    � 참 가비: (사전등록:5만원 (식대+강의교재) 현장등록:9만원)
    � 부스참여업체: 부동산 관련업체 및 의료관련업체 32개

    참관문의행사 홈페이지: www.doctorbank.net

    개원정보114홈페이지 : www.medic114.com

  • 니폰의 2007.09.06 15:50:29

    일본, 의사 동의없는 대체조제 가능

    내년부터 시행될듯...제네릭 육성 정책 적극나서


    ▲ 히데오 야마베 전무
    일본정부가 제네릭 의약품 육성차원에서 내년부터는 의사의 동의 및 약사의 사후통보 없이 대체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일본의 경우 제네릭 비중을 30~40%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정부 방침으로 정하고 대체조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5일 개최된 한-일 제약산업 세미나에서 일본 제약협회 히데오 야마베 전무는 '일본 제네릭 육성정책'과 관련한 정부 정책을 소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히데오야마베 전무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제네릭 의약품 육성을 위해 정부차원에서 다양한 유인책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는 것.

    일본정부는 이를 위해 현재 처방전에 대체가 가능하다는 의사의 확인이 있을 경우 자유스럽게 대체조제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이 제네릭 활성화에 기여하지 못한다고 일본정부측은 판단하고 있다.

    실제로 대체가능하다는 의사의 확인이 사용된 처방전은 전체의 15%에 불과하다는 설명.

    따라서 일본정부는 내년부터 처방전양식을 바꿔서 ▲의사의 동의가 필요한 품목군(제네릭으로 바꿔서는 곤란하다) ▲의사의 동의 없이도 대체조제가 가능한 품목군(의사 동의없이 제네릭 사용 가능하다)을 선정해 대체조제 활성화 정책을 적극 추진한다는 것.

    히데오야마베 전무는 "일본정부는 이러한 대체조제 활성화 정책이 결국 제네릭의약품 점유율을 높일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일본측은 제네릭촉진정책 정착을 위해서는 제약기업이 품질보장, 공급안전성, 정보제공 이라는 3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처럼 일본정부가 제네릭 육성차원에서 대체조제 활성화 정책을 적극 검토하고 있어, 국내에서도 다양한 정책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공산당선호 2007.09.06 13:45:03

    우리 국민은 다빈치 필요없다니까!
    무조건 싼게 제일이지.

    얼마에 그 수술 할 건데?
    빈민촌에서 스테이크 파는 것과 같다.
    로봇수술은 무슨..

    그러다 로봇 수술받은 사람 나중에 수술비 비싸다고 환불요구하면 성모병원 꼴난다.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