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급여 본인부담제 시행이후 진료일수 22%↓

장종원
발행날짜: 2008-11-21 12:20:01
  • 심평원 김영옥, 연세대 정우진 등 연구…제도효과 뚜렷

[메디칼타임즈=]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에 대한 외래본인부담금 제도가 시행된 이후 의료급여 수급권자들의 의료이용 감소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평원 김영옥, 연세대 정우진, 김세라, 이선미 등은 21일 한국보건행정학회 학술대회에서 외래진료 본인부담 도입 전인 2006년 10월과 도입 후인 2007년 10월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의 의료행태를 비교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분석결과 월간 건당 평균 외래 방문일수 및 진료일수는 2.87일에서 2.15일, 4.95일에서 3.83일로 각각 25.09%, 22.63% 감소했다.

월간 건당 평균 외래진료비 및 원외처방약제비도 5만762원, 4만85원에서 5만957원, 4만2238원으로 제도 시행 후 각각 21.03%, 17.11% 감소한 결과를 나타냈다.

연구팀은 외래 본인부담도입이 본인부담이 없는 입원진료 및 보건기관으로의 이동을 야기했는지는 알아보기 위해 월간 건당 평균 입원일수와 입원진료비 및 보건기관의 외래 의료이용과 진료비의 변화도 분석했다.

입원일수 및 입원진료비는 15.53일에서 15.16일, 103만5390원에서 110만799원으로 각각 2.38%, 7.85% 감소했다.

보건기관의 외래 방문일수 와 진료일수는 1.35일에서 1.32일, 8.03일에서 7.96일로 2.22%와 0.87% 감소했다.

연구팀은 "급여환자에 대한 본인부담제 도입이 의료급여 재정절감측면에서는 효과성이 인정된다"면서 "다만 상대적으로 열악한 수급권자들이 경제적인 이유로 의료서비스 접근성을 제한받지 않도록 적절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책 기사

댓글 5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무지 2008.11.22 10:52:37

    아픈 약자를 압박하는 건 죄악이다.
    북한에서나 가능한 약자 죽이기. 보호할머니들에게 얼마나 겁을 줬는지 병을 악화시켜 참다참다 너무 아파서 왔다는 환자들 보면 느낌이 틀릴 겁니다.일반으로 해달라는 할머니는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요? 진료비 줄여서 퍽이나 좋기도 하겠다.
    대표적인 탁상행정이며, 극빈층 죽이기 정책입니다.시민단체는 입 다물고...

  • 국민들~ 2008.11.21 14:28:20

    너들은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가 않된다는 보장은 없다~!!
    뭘 보고 좋다고 그러는지~!!
    너 들은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가 않된다는 보장은 없다~!!

    죄는 지은대로가고~ 공은 닥은대로 간다~!!

  • 12 2008.11.21 14:25:47

    복지계통에서 저사람들은 서민들의 아픔을 짜내려는 인물이 되겠죠
    급여환자 아파도 돈 천원 없어서 치료 못받냐 이렇게 생각하겠죠

  • 12 2008.11.21 14:16:49

    준다고 좋은게 아니죠 아파도 못오는거지
    돈 오르면 줄지 당연한 이치 아니니
    돈만아는 사람들아

  • 똑같은넘` 2008.11.21 13:04:04

    할배할매나 너나
    대화수준 똑같구나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