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천억 당뇨시장, DPP-4억제제 급부상

이석준
발행날짜: 2010-01-26 06:45:56
  • 자누비아, 가브스 등 성장세 뚜렷

자누비아
올해 5000억 원대 이상의 거대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보이는 당뇨시장에 '자누비아', '가브스' 등 DPP-4억제제가 급부상하고 있다.

기존 약물에 대한 처방 증가폭이 '도토리 키재기'라면, DPP-4억제제는 상승폭이 가파르다. 당뇨치료제 무게중심이 DPP-4억제제로 급격히 이동하는 모양새다.

DPP-4 주요 임상 결과에 따르면, DDP-4(디펩티딜펩티다제-4) 억제제는 체내 혈당조절의 중추인 인크레틴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하는 효소(DPP-4)를 선택적으로 차단, 신체고유 혈당 조절 기능을 강화해 준다.

이에 따라 췌장의 베타세포를 자극하지 않고도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특히 약물 투여로 인한 체중 증가, 저혈당 등 기존 당뇨병치료제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을 개선한다.

시중에 출시된 DPP-4 억제제는 정제인 '자누비아'(시타글립틴), '가브스'(빌다글립틴), 그리고 주사제 '바이에타'(엑세나타이드) 등이다. 이중 '자누비아'의 시장 점유율이 가장 큰 상태다.

주요 당뇨병치료제 원외처방조제액 현황, 단위: 억원
주요 당뇨병치료제 점유율 추이
의료 현장에서는 이미 DPP-4 억제제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원외처방조제액 현황이 이를 증명한다.

기존 치료제인 '아마릴'(614억원→ 664억원), '다이아벡스'(269억원→305억원), '치옥타시드'(240억원→254억원), '베이슨'(232억원→233억원), '아반디아'(297억원→241억원), '글리멜'(143억원→158억원) 등의 처방액이 소폭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반면 DPP-4 억제 '자누비아'(2억원→218억원), '가브스'(0억원→71억원)는 큰 폭의 성장을 보였다.

MSD 관계자는 "'자누비아'는 미 FDA와 유럽에서 허가받은 최초의 억제제로 전세계 80개국 이상에서 시판되고 있다"며 "기존 약제의 부작용인 저혈당과 체중증가가 적고, 식사에 관계없이 하루 1회 복용하는 점도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