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정원 7년새 20% 증가…인력수급 '구멍'

안창욱
발행날짜: 2010-05-31 06:57:00
  • 2003년 3379명서 2010년 4065명, 산부인과만 감소

[메디칼타임즈=] 전문의 정원을 감축해야 한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지난 7년간 전공의 정원이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과 등의 경우 미달 사태가 계속되고 있지만 정원을 계속 늘려와 인력 수급의 허점을 드러냈다.

연도별 전공의 정원 추이
최근 보건복지부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현희 의원에게 제출한 전공의 정원 및 지원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03년 이후 레지던트 정원은 3379명, 3327명, 3470명, 3688명, 3874명, 3909명으로 꾸준히 늘었고, 2009년에는 4039명으로 4천명을 돌파했다.

2010년에는 4065명으로 더 늘어 2003년 대비 전공의 정원 증가율이 20%나 됐다.

정원이 계속 늘어나면서 응시율도 하락 곡선을 그리고 있다.

연도별 지원율을 보면 2003년 123%, 2004년 126%, 2005년 128%로 상승하다가 2006년에는 126%, 2007년 121%, 2008년 117%, 2009년 115%, 2010년 113%로 떨어지는 추세가 뚜렷하다.

또한 일부 전문과목들은 매년 미달사태가 빚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원을 계속 늘려 이같은 지원율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외과 지원율은 2006년까지만 해도 273명 정원에 271명이 응시해 지원율이 99%를 기록했다.

하지만 외과 인기가 점차 떨어지고 있지만 정원을 2007년 308명, 2008년 315명, 2009년 322명, 2010년 317명으로 늘린 결과 지원율이 84%에서 64%, 65%, 57%로 곤두박질쳤다.

흉부외과 역시 매년 미달 사태를 빚어왔지만 정원을 2003년 70명에서 2010년 76명으로 늘렸다.

이 기간 전체 전문과목 가운데 전공의 정원을 줄인 과는 산부인과가 유일했다.

산부인과는 저출산 문제가 심화되자 전공의 정원을 2003년 237명에서 2010년 193명으로 19% 축소해 왔다.

정책 기사

댓글 5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이런 사태는.. 2010.05.31 13:07:53

    거대화되는 병원에 따른 변화이다!
    수도권 및 지방의 대학병원의 거대화로 인한 전공의의 증가에 따른 것이다. 파이는 거의 일정한데 새로운 병원이 계속 늘어나니 전공의가 늘수밖에 없지 않은가? 차라리 전공의 전체 정원을 일정하게 하고 케이스 및 환자가 적은 병원은 t/o를 팍팍 줄이고 느는 병원은 T/O를 늘리도록 하자! 삼성서울같은 병원도 오래된 후진 병원들에 비해서 T/O가 적은 곳이 있으니..

  • 12 2010.05.31 12:44:27

    전문의가 치료해야지
    대학병원 갔는데 전문의 자격도 없는 사람이 치료하면 되냐
    간호사가 치료하는 경우도 있다는데
    거지 같은 병원들

  • 인력착취 2010.05.31 12:08:16

    전공의로 대형병원 돌리려는 발상이 나쁜 것!
    나쁜 놈의 복지부색퀴들과 병협 경영자 색퀴들이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전문의 자격증을 핑계로 인력착취하는 것은 중범죄행위다.

  • 부족 2010.05.31 10:15:51

    또 다른 해석
    미달되어 부족 한것이...의사가 부족해서 그런것이다
    따라서 의사를 늘이면 미달.부족한게 해석된다는 주장을 펴기도 하지.. ㅋㅋㅋ

    다른 쪽(과)은 포화상태로 경쟁이 치열한데도 말이야 ㅋㅋㅋ

  • 마치 2010.05.31 09:29:01

    대책없는 부실대학 꼴
    어중이 떠중이 대학만 자꾸 늘려서 정원 미달되는 꼴.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