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 '넥시아' 말기 전이암 치료…SCI 게재"

안창욱
발행날짜: 2010-06-16 06:44:46
  • 동서신의학병원 한방암센터 논문 Annals of Oncology 게재

한약 넥시아를 이용해 한방 단독으로 진행암 환자들을 치료한 임상 사례가 SCI 국제 암 전문 학술지에 등재됐다.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한방암센터(센터장 최원철 교수) 넥시아 연구진은 국제 저명 암 학술지인 ‘Annals of Oncology' 6월호에 한약 넥시아를 이용해 신장암에서 폐로 전이된 암환자의 종양이 완전 소실된 사례를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약 단독요법으로 신장에서 폐로 전이된 4기 진행암 환자 사례 2건의 치료 결과를 유의한 임상자료로 인정받아 SCI 국제 암 전문학술지에 게재한 것은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넥시아는 한약 추출물(aRVS, 칠액(漆液) 법제분)을 이용한 천연물 종양 치료제이다.

이 논문은 ‘전이된 신장암 치료를 위한 가능성 있는 치료법으로서의 RVS 추출물: 임상 2례( Rhus verniciflua Stokes extract as a potential option for treatment of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 report of two cases)’이다.

국제 암 전문학술지인 ‘Annals of Oncology'는 유럽종양내과학회 공식 학술지로 옥스퍼드대 출판국에서 발행하는 SCI 학술지다.

이 학술지는 종양내과학, 수술, 방사선 요법, 소아 종양, 기초 연구 및 암환자의 광범위한 관리 등 암에 관련된 여러 전문분야를 다루고 있으며 인용지수(Impact Factor)가 4.935다.

(A) 치료전 CT 영상, (B) 치료후
논문에 게재된 환자는 2006년 7월 신장암 진단을 받은 50세 남자로, 신장절제술 이후 2006년 11월 양쪽 폐에 다발성 전이가 발견됐다.

이후 항암치료를 권유받았으나 이를 거부하고 2006년 12월부터 한방 단독요법으로 한약 넥시아를 6개월간 복용 후 종양이 완전 소실됐으며 현재까지 생존중이다.

또 다른 환자는 2006년 9월 폐전이 신장암 4기 진단을 받은 47세로, 신장절제술 이후 폐와 부신으로 전이돼 표준치료인 Sunitinib이라는 표적치료를 받았지만 폐와 부신 전이가 악화된 사례다.

이후 지속적인 항암치료를 권유했으나 환자가 거부하고 2007년 7월부터 한약 넥시아를 이용한 한방 단독 치료를 받은 후 종양이 소실돼 현재까지 건강하게 생존하고 있다.

한의학 암 치료 임상사례는 약물의 표준화 및 품질관리의 문제로 인해 SCI급 국제학술지 게재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넥시아 연구팀은 한약 넥시아를 표준화해 품질관리를 해 환자 치료에 사용한 연구성과를 인정받았다.

이와 함께 동서신의학병원은 “동일한 환자군에 대한 치료를 GCP(Good Clinical Practice)를 준수한 한의대병원 한방암센터에서 유의성 있게 재현한 결과”라면서 “한방 암치료 및 관련 임상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이미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한방암센터 넥시아연구 교수진은 약 10여편의 비임상 연구와 임상 연구 등을 SCI 및 SCIE 등재 국제학술지에 게재한 바 있다.

작년 11월에는 진행암 장기생존자에 대한 다수의 임상 사례들을 대표적인 항암제인 택솔을 연구개발한 미국 국립암연구소(NCI) 부속 프레드릭 연구소(NCI-Fredrick)에서 발표한 바 있다.

넥시아 임상연구를 이끌고 있는 정현식 교수(한방내과)는 “그 동안 국내 한의대에서 암에 관한 비임상 연구가 다수 SCI 급 국제학술지에 게재된 적은 있었지만 진행암 환자들의 암을 재현성있게 치료한 한방 단독치료의 임상 사례가 SCI 국제 암 전문학술지에 게재되기는 이번이 처음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상헌 교수(한방내과)는 “이번 한방 단독치료 임상 자료 외에도 폐암치료 증례를 포함한 여러 편의 한방 암 치료 임상자료가 SCI급 국제학술지에서 이미 실렸거나 게재 확정을 받았으며, 추가로 다수 논문이 현재 심사중”이라고 밝혔다.

넥시아 연구진에는 혈액종양내과 2명, 한방내과 6명, 의학통계학 1명을 포함한 총 9명의 교수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특히 ‘Annals of Oncology’ 6월호에 발표한 논문의 교신저자인 이수경 교수는 현재 미국 국립암연구소(NCI)에 파견 근무중이다.

하지만 국내 의학계에서는 '넥시아'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해 여전히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학술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