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 토론회…"마약류 지정" VS "용량 조절로 통제"
수면마취제 '프로포폴'을 마약류나 항정신성의약품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식약청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노연홍)은 14일 오후 3시 한국제약협회에서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수면마취제 '프로포폴'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프로포폴'을 마약류로 지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쏟아졌다.
서울아산병원 마취통증의학과 황재현 교수는 "'프로포폴'은 마약은 아니지만 마약류에 버금간다"며 "오늘 시간이 쪼개 참여한 것은 위험성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마약류로 지정 관리하는 게 옳다"고 주장했다.
황 교수는 "일각에서는 횟수 제한 등을 통해 관리를 하자고 하는데, 관리 체계가 없는 상태로는 해결될 수 없다"며 "의사들도 이 약이 위험한 줄은 알지만, 이렇게까지 위험한 약인지는 사실 인지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다. 하루빨리 정부가 나서서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환기시켰다.
KBS 김민희 PD도 "'프로포폴'은 굉장히 심각한 약이다. 왜 마약으로 지정하지 않는지 모르겠다"고 운을 뗀 후 "취재 당시 유흥업소 종사자들을 많이 만날 수 있었는데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의존성이 컸다"고 지적했다.
김 PD는 이어 "의사의 윤리의식에 맡기기에는 위험성이 많고 항정으로 지정되는 등 제제 방안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연근 인천남동경찰서 지능2 팀장 역시 같은 의견을 개진했다.
노 팀장은 "오늘 한 병원에 수사를 나갔는데 간판도 없고. 내부는 다른 약이나 의료기구도 없이 (오로지) 프로포폴만 있었다"며 "대부분 유흥업소 종사자들이 찾아온다고 했는데, 오면 놔준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관련 법규가 없다보니 '경찰이 무리한 행동한다' '병원 진료실에 와서 뭐하는 거냐' 등 되레 문전박대를 당했다"며 "'프로포폴'의 의존성은 심각하다. 하두 맞아서 마취가 안들어 수술을 못하는 환자도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의사들의 비양심적 행태도 꼬집었다.
그는 "빠른 시일 내에 항정이나 마약류로 지정하지 않으면 굉장히 우려할만한 현상이 생길 것이다. 법규가 없고 통제할 길이 없기 때문"이라며 "아무 약도 없고 포폴 주사만 있는 병원이 상식적으로 맞는지 모르겠다"고 우려했다.
이어 "단속을 나가면 심지어 돈 벌려고 하는데 뭐가 잘못됐냐 따진다"며 "어떤 병원은 (포폴 주사로) 하루에 평균 1000만원 이상을 벌고, 많을 때는 3000만~4000만원이 들어온다고 한다. 또 다른 병원은 두달에 3억9000만원을 벌어들인 사례도 있다"고 말했다.
소수지만 다른 의견도 있었다. 마약류 지정보다는 횟수 제한이나 용량 조절로 오남용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박현철 대한위내시경학회 이사는 "결국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이 문제인데 횟수나 양을 제한하는 규정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약을 제조 판매하고 있는 동국제약 유병기 상무이사도 "항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를 한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며 "사용량의 제한이나 횟수 제한을 두는 것이 옳다. 원래 약물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제시된 의견은 오는 8월 중에 개최될 중앙약사심의위원회(중앙약심)에 제출, 연구용역 결과 등을 종합해 마약류 지정 여부가 논의될 예정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노연홍)은 14일 오후 3시 한국제약협회에서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수면마취제 '프로포폴'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프로포폴'을 마약류로 지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쏟아졌다.
서울아산병원 마취통증의학과 황재현 교수는 "'프로포폴'은 마약은 아니지만 마약류에 버금간다"며 "오늘 시간이 쪼개 참여한 것은 위험성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마약류로 지정 관리하는 게 옳다"고 주장했다.
황 교수는 "일각에서는 횟수 제한 등을 통해 관리를 하자고 하는데, 관리 체계가 없는 상태로는 해결될 수 없다"며 "의사들도 이 약이 위험한 줄은 알지만, 이렇게까지 위험한 약인지는 사실 인지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다. 하루빨리 정부가 나서서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환기시켰다.
KBS 김민희 PD도 "'프로포폴'은 굉장히 심각한 약이다. 왜 마약으로 지정하지 않는지 모르겠다"고 운을 뗀 후 "취재 당시 유흥업소 종사자들을 많이 만날 수 있었는데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의존성이 컸다"고 지적했다.
김 PD는 이어 "의사의 윤리의식에 맡기기에는 위험성이 많고 항정으로 지정되는 등 제제 방안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연근 인천남동경찰서 지능2 팀장 역시 같은 의견을 개진했다.
노 팀장은 "오늘 한 병원에 수사를 나갔는데 간판도 없고. 내부는 다른 약이나 의료기구도 없이 (오로지) 프로포폴만 있었다"며 "대부분 유흥업소 종사자들이 찾아온다고 했는데, 오면 놔준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관련 법규가 없다보니 '경찰이 무리한 행동한다' '병원 진료실에 와서 뭐하는 거냐' 등 되레 문전박대를 당했다"며 "'프로포폴'의 의존성은 심각하다. 하두 맞아서 마취가 안들어 수술을 못하는 환자도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의사들의 비양심적 행태도 꼬집었다.
그는 "빠른 시일 내에 항정이나 마약류로 지정하지 않으면 굉장히 우려할만한 현상이 생길 것이다. 법규가 없고 통제할 길이 없기 때문"이라며 "아무 약도 없고 포폴 주사만 있는 병원이 상식적으로 맞는지 모르겠다"고 우려했다.
이어 "단속을 나가면 심지어 돈 벌려고 하는데 뭐가 잘못됐냐 따진다"며 "어떤 병원은 (포폴 주사로) 하루에 평균 1000만원 이상을 벌고, 많을 때는 3000만~4000만원이 들어온다고 한다. 또 다른 병원은 두달에 3억9000만원을 벌어들인 사례도 있다"고 말했다.
소수지만 다른 의견도 있었다. 마약류 지정보다는 횟수 제한이나 용량 조절로 오남용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박현철 대한위내시경학회 이사는 "결국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이 문제인데 횟수나 양을 제한하는 규정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약을 제조 판매하고 있는 동국제약 유병기 상무이사도 "항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를 한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며 "사용량의 제한이나 횟수 제한을 두는 것이 옳다. 원래 약물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제시된 의견은 오는 8월 중에 개최될 중앙약사심의위원회(중앙약심)에 제출, 연구용역 결과 등을 종합해 마약류 지정 여부가 논의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