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 급격히 악화… 난국타개 실마리 찾을지 관심
의협 김재정 집행부가 21일 이뤄진 한의협과 약사회의 약대 6년제 합의 후폭풍에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지역의사회와 개원의단체를 중심으로 약대 6년제 사전 대응에 대한 불만이 터져나오는 등 여론이 급격하게 악화되고 있다.
의협은 뒤늦게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합의가 이루어진 다음날인 22일, 약대 6년제를 반대하며 총력 투쟁으로 맞서겠다는 성명을 발표하며 진화에 나섰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의사회와 약사회의 합의 후 의료계 여론은 집행부 문책론과 사태 수습론으로 크게 나뉘고 있다.
이미 순천시의사회와 경주시의사회 등은 김재정 회장을 비롯한 상임진들의 총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지역 의사회가 공개적인 방법으로 사퇴를 요구를 한 것은 김재정 집행부가 들어선 이후 처음 있는 일이어서 사태의 심각성을 실감케 하고 있다.
한 개원의는 "약대 6년제는 약사들의 무면허 의료행위를 부추기는 결과만 가져올 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데도 정부가 이를 강행하려는 특정 직역을 비호하려는 음모"라고 지적하고 "이에 제대로 맞서지 못한 의협 집행부를 더이상 믿고 따를 수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개원의는 "의협이 약대 6년제 저지를 위해 한게 뭐냐"면서 "회원들의 권익을 제대로 지켜주지 못하는 김재정 집행부는 무능을 스스로 인정하고 물러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른 회원들 입에서도 약대 6년제 논의에서 왕따를 당하고 사전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책임을 들어 "김 회장과 집행부가 전격 사퇴하고 새로운 리더를 통해 분위기를 쇄신해야 한다"는 주장이 흘러나오고 있다.
그러나 현 집행부 옹호론도 만만치 않다.
부산의 한 개원의는 “지금은 의료계가 총력투쟁으로 맞서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집행부를 끌어내리기 보다는 오히려 더 확고한 지지를 보내 힘을 실어주어야 한다"면서 "오히려 집행부를 흔드는 것은 상대를 이롭게 하는 행위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른 회원들은 집행부 인책을 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지금은 단결이 더 절실하게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경기도의 또 다른 개원의도 "무조건 집행부만 탓할게 아니라, 스스로의 무관심에 대해서 반성해야 할 것"이라며 "분열보다는 단결로 적극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의협은 지난 22일 긴급 상임이사회를 열어 약대 6년제 합의를 '야합'으로 규정하고 ▲비상대책기구 구성 ▲정부에 반대의견 전달 ▲대규모 공청회 개최 등의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다음날인 23일 오후에도 김재정 회장이 주재한 가운데 긴급 시도의사회장단 회의를 여는 등 사태수습에 나섰다.
특히 23일 시도의사회장단 회의에선 복지부가 약대 6년제 의견서를 교육부에 전달하는 즉시 회원 찬반투표를 벌여 폐업투쟁을 벌여야 한다는 초강경 대응론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민감한 사안인 만큼 신중히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에 밀려 수면 밑으로 가라앉은 것으로 알려졌다.
위기에 몰린 김재정 집행부가 이 상황을 어떻게 타개해 나갈지 의료계 안팎의 관심이 쏠린다.
지역의사회와 개원의단체를 중심으로 약대 6년제 사전 대응에 대한 불만이 터져나오는 등 여론이 급격하게 악화되고 있다.
의협은 뒤늦게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합의가 이루어진 다음날인 22일, 약대 6년제를 반대하며 총력 투쟁으로 맞서겠다는 성명을 발표하며 진화에 나섰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의사회와 약사회의 합의 후 의료계 여론은 집행부 문책론과 사태 수습론으로 크게 나뉘고 있다.
이미 순천시의사회와 경주시의사회 등은 김재정 회장을 비롯한 상임진들의 총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지역 의사회가 공개적인 방법으로 사퇴를 요구를 한 것은 김재정 집행부가 들어선 이후 처음 있는 일이어서 사태의 심각성을 실감케 하고 있다.
한 개원의는 "약대 6년제는 약사들의 무면허 의료행위를 부추기는 결과만 가져올 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데도 정부가 이를 강행하려는 특정 직역을 비호하려는 음모"라고 지적하고 "이에 제대로 맞서지 못한 의협 집행부를 더이상 믿고 따를 수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개원의는 "의협이 약대 6년제 저지를 위해 한게 뭐냐"면서 "회원들의 권익을 제대로 지켜주지 못하는 김재정 집행부는 무능을 스스로 인정하고 물러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른 회원들 입에서도 약대 6년제 논의에서 왕따를 당하고 사전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책임을 들어 "김 회장과 집행부가 전격 사퇴하고 새로운 리더를 통해 분위기를 쇄신해야 한다"는 주장이 흘러나오고 있다.
그러나 현 집행부 옹호론도 만만치 않다.
부산의 한 개원의는 “지금은 의료계가 총력투쟁으로 맞서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집행부를 끌어내리기 보다는 오히려 더 확고한 지지를 보내 힘을 실어주어야 한다"면서 "오히려 집행부를 흔드는 것은 상대를 이롭게 하는 행위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른 회원들은 집행부 인책을 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지금은 단결이 더 절실하게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경기도의 또 다른 개원의도 "무조건 집행부만 탓할게 아니라, 스스로의 무관심에 대해서 반성해야 할 것"이라며 "분열보다는 단결로 적극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의협은 지난 22일 긴급 상임이사회를 열어 약대 6년제 합의를 '야합'으로 규정하고 ▲비상대책기구 구성 ▲정부에 반대의견 전달 ▲대규모 공청회 개최 등의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다음날인 23일 오후에도 김재정 회장이 주재한 가운데 긴급 시도의사회장단 회의를 여는 등 사태수습에 나섰다.
특히 23일 시도의사회장단 회의에선 복지부가 약대 6년제 의견서를 교육부에 전달하는 즉시 회원 찬반투표를 벌여 폐업투쟁을 벌여야 한다는 초강경 대응론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민감한 사안인 만큼 신중히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에 밀려 수면 밑으로 가라앉은 것으로 알려졌다.
위기에 몰린 김재정 집행부가 이 상황을 어떻게 타개해 나갈지 의료계 안팎의 관심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