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 자살률 일반인에 비해 2배 높아"

이창진
발행날짜: 2010-09-12 18:09:43
  • 국립암센터 오영호 박사팀, 10년 암환자 추적조사

암환자의 자살률이 일반인에 비해 2배 이상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립암센터 윤영호 박사팀은 최근 10년간(93~02년) 암환자 81만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여자 환자(32명/10만명)에 비해 남자 환자(116명/10만명)의 자살률이 높았다.

특히 5년간(98~02년) 진단된 암환자들의 자살률은(92.0명/10만명) 그전 5년에(93~97년) 비해(47.1명/10만명) 약 2배로 높았는데, 추적기간 별로 층화한 분석에서도 그 차이는 여전히 관찰됐다.

이같은 자살률은 암 진단 후 첫 1년간 가장 두드러졌으며(93~97년 시간이 지날수록 낮아졌으나, 진단 5년 후에도 일반인 수준으로 떨어지지 않았다.

제1저자인 안은미 전문의는(가정의학과) “췌장암이나 담도암, 폐암 환자의 자살률이 높은 것은 이들 암종이 예후가 좋지 않은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며 "구강인후암 환자에서 자살률이 높은 이유는 외모나 발성, 음식물 섭취 등의 곤란 등으로 인한 삶의 질이 매우 떨어진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사망한 환자 조사에서는 이혼과 별거, 또는 사별한 사람들과 직업이 없는 사람들, 고졸 미만인 사람들 등에서 자살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윤영호 박사(가정의학과 전문의)는 “암 진단 후 치료과정에서 겪는 신체적, 정신적 고통뿐만 아니라 직업상실, 간병 부담 등의 재정적 손실이 막대하다"면서 "주변과 사회의 격려와 지지가 절실하며 취약계층 암환자들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사회경제적 지원 대책이 더 강화돼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Cancer Epidemology, Biomarkers & Prevention' 최신호(8월호)에 게재됐다.

학술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